Technical Re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28 February 2019. 73-78
https://doi.org/10.32390/ksmer.2019.56.1.073

ABSTRACT


MAIN

  • 서론

  • 실험방법

  • 실험결과 및 고찰

  • 결론

서론

우리나라는 과거 1970~1980년대의 급격한 산업발전과 함께 많은 수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건축물이 건설되었다. 국내의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과 건축물의 수명은 대략 30년으로 보고 있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과거 산업화 시기에 지어진 다량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건축물이 한계 수명에 도달하여 노후화에 따른 해체 및 재건축이 활발하여 다량의 건설 폐기물이 배출되고 있다. 수치상으로도 2011년 186,417톤에서 2016년 199,444톤으로 증가하여 지속적인 배출량 증가 추세에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6). 현재 배출되는 건설폐기물 중 약 98% 가량을 재활용하고 있으며, 재활용 용도는 주로 도로보조기층용, 콘크리트제품 제조용, 채움재용, 수평배수층용 정도이다(Kim and Chung, 2012). 이러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공정에서는 용도에 따른 파분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분이 불순물 분리를 위해 투입되는 물과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배출되는데, 이 슬러리는 침전 및 탈수 공정을 통해 수분을 제거한 후 슬러지 형태로 폐기물로 배출되게 된다. 특히, 순환골재의 품질 향상을 위해 생산 과정에서 파쇄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모르타르 성분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미분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Kim et al., 2015a). 이 때 슬러지에 포함되는 미분은 건설폐기물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폐콘크리트의 전체량의 약 40%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현재는 이 슬러지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상황으로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Shin et al., 2016).

폐콘크리트 분쇄 슬러리의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여러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Song et al.(2014)는 폐콘크리트 분쇄 슬러리 내 미분을 이용한 저탄소형 시멘트 재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폐콘크리트 분쇄 슬러리를 이용하여 시멘트 생산 시 클링커의 운전 조건을 적절히 조절하여 수화열이 낮은 저탄소형 시멘트 생산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 Kim et al.(2015a)는 폐콘크리트 슬러리 내 미분의 활용성 증대를 위한 도로포장용 충전재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기준 압축강도가 낮은 편인 일반도로용(18~25 MPa)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습식사이클론(Hydrocyclone) 분급기는 원심력과 물질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물질의 침강 속도를 가속하여 고체를 입도별로 분리하거나 고액 분리 또는 액액 분리가 가능한 장치이다. 처리 용량에 비해 설비의 크기가 작아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낮아 경제적 운용이 가능하며 특히 미립분의 분급에 효과적인 기기이다(Shin et al., 2015). 습식사이클론의 처리가능 입도와 성능은 사이클론의 직경(내경)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각 부위(주입구, vortex finder, apex valve)의 직경 및 사이클론의 길이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슬러리의 고액비, 주입 속도, 압력 차와 같은 운전 조건에 따라 분급 성능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5b). Shin et al.(2015)에 따르면, 원시료 주입 압력을 증가시킬 경우 Underflow 산물의 평균 입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며, 원시료의 고액비가 증가할수록 Underflow 산물의 함수율이 낮아져 습식사이클론의 탈수효과가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Kim et al.(2015)은 광물찌꺼기를 이용한 습식사이클론의 정밀분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원시료 주입압력이 감소할수록 분리입도가 증가하며, 고액비가 증가할수록 분리입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밝힌 바 있다.

Shin et al.(2016)에서는 폐콘크리트 슬러리 내 미분의 구성 광물의 비가 입도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확인한 바 있다. 미립으로 갈수록 탄산염 광물과 백운모의 구성비가 증가했으며, 중금속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거 주변 지반 채움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고유동 콘크리트의 경우, 미립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주입성의 증가 등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2). 이외에도 슬러리 재활용 처리 시 슬러리 내 미분의 입도 분리를 통해 각 입도 구간의 광물·화학적 조성에 따른 환경적으로 안전한 재활용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슬러리 내 미분을 효과적으로 분리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슬러리 고액비가 폐콘크리트 분말 슬러리의 분급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폐콘크리트 슬러리를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다양한 고액비에서 3단계의 습식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분급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단계별 overflow와 underflow로 배출되는 슬러리의 고액비와 입도 분포를 조사하여 분급효율곡선을 통해 분급 효율을 확인하였다.

실험방법

폐콘크리트 슬러리의 미분 다단계 분급 실험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소재 건축폐기물 재활용 업체에서 순환골재 생산 후 발생하는 슬러리를 이용하였다. 폐콘크리트 처리 공정 중 응집제를 이용한 침전 공정을 거친 후 필터프레스 공정을 통해 수분이 감소된 슬러지를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폐콘크리트 미분 원시료의 입도 분석 결과 D10 = 2.625 µm, D50 = 16.528 µm, D90 = 69.558 µm로 나타났다(Fig. 1). 전체 시료 중 약 96%가 75 µm 이하 크기로 나타나 본 연구에 사용된 폐콘크리트 슬러지의 입도가 기존에 알려진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실트 성분이 적정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Shin et al., 201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1/N0330560108/images/ksmer_56_01_08_F1.jpg
Fig. 1.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eed.

분급 실험에 사용된 시스템은 연 300 m3급 파일롯 폐콘크리트 슬러리 분급 처리 설비로써 Fig. 2에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폐콘크리트 처리 업체에서 획득한 슬러지는 잔류 수분에 의해 뭉쳐있어 믹서기를 이용하여 해쇄 처리를 진행한 후 #50 sieve(0.3 mm)를 이용하여 체거름 한 후 사용하였다. 해쇄된 슬러지를 혼합조(Mixing tank)에서 정해진 고액비(1, 2, 5%)에 따라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1일 이상 교반한 후 사용하였다. 폐콘크리트 처리 시설에서 발생하는 슬러리는 원료 물질 변화나 외부 요인에 의해 1~5% 내외에서 배출되므로 실험 시에 이 조건을 반영하였다. 분급 실험에 사용된 습식사이클론은 Airsys社에서 제작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4, 2, 1 인치 크기의 사이클론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혼합조 내 슬러리를 공급조(Slurry tank)에서 사이클론으로 설계 압력(각각 0.5, 2.5, 3.4 bar)에 따라 주입하였다. 습식사이클론 내부로 이송된 슬러리에 포함된 입자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하부로 이송되어 underflow로 배출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는 overflow로 배출된다. 각 단계별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underflow 슬러리는 하부에서 별도로 채집하였으며, overflow 슬러리는 다음 단계 공급조(Slurry tank)로 이송되었다. 각 단계별 underflow 슬러리와 overflow 슬러리는 입도 분석과 고액비 분석을 위해 50 mL씩 채집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1/N0330560108/images/ksmer_56_01_08_F2.jpg
Fig. 2.

Schematic diagram of multi-step hydrocyclone particle classification system.

입도 분석은 Malvern사의 Mastersizer 2000과 Hydro 2000 MU를 이용하였다. 원시료의 입도 분석은 슬러지를 고액비 1% 조건으로 물과 혼합하여 측정하였다. 습식사이클론으로 주입되는 Feed 슬러리 및 Overflow 산물, Underflow 산물의 고액비는 오븐을 이용하여 110°C에서 24시간 건조 후 질량 비교를 통해 획득하였다.

실험결과 및 고찰

Fig. 3은 각 싸이클론(#1, #2, #3)에서 입도 분리 후 feed, overflow, underflow의 평균입도를 나타낸다. 고액비에 따른 각 사이클론 통과 후의 overflow의 평균입도는 큰 차이가 없으며, underflow의 경우에도 습식사이클론 #1에서 큰 입자들이 대부분 분급처리 되면서, 사이클론 #1의 underflow에서만 평균입도가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고, 사이클론 #2와 #3에서는 공정 후 평균입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1/N0330560108/images/ksmer_56_01_08_F3.jpg
Fig. 3.

The median particle size of feed, overflow, and underflow at a solid to liquid ratio of (a) Hydrocyclone #1, (b) Hydrocyclone #2, and (c) Hydrocyclone #3.

각 고액비 조건에 따라 각각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feed 슬러리와 underflow로 배출된 슬러리의 실제 고액비를 측정해 보았다(Table 1). 1단계 사이클론으로 투입되는 feed 슬러리의 고액비는 설정된 조건과 유사한 값을 보여 원시료의 교반이 효율적으로 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고액비 1% 조건 중 사이클론 #2 feed, underflow의 고액비가 사이클론 #1 feed, underflow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주입 펌프의 특성으로 인해 Feed의 시간별 고액비가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각 분급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feed 슬러리의 고액비가 감소하며 각 조건별 고액비의 차이가 줄어들어 3단계 사이클론의 feed 슬러리에서는 고액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Table 1. Actual solid to liquid ratio of feed slurry and underflow slurry

Solid to liquid ratio 1% 2% 5%
Hydrocyclone No. #1 #2 #3 #1 #2 #3 #1 #2 #3
Feed 1.14 1.23 0.71 1.96 1.44 1.01 5.50 3.19 1.67
Underflow 7.97 9.33 1.29 13.92 11.24 2.82 42.41 23.94 4.92

실제 폐콘크리트 처리 공정의 경우 투입되는 건축폐기물의 종류와 운전 조건 및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배출 슬러리의 고액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와 같이 다단계 습식사이클론 시스템을 설치하여 분급 처리할 경우, 투입 시료의 고액비 조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2단계 및 3단계 습식사이클론에서는 일정한 결과물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액비가 분급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액비 조건별(1, 2, 5%) 각 습식사이클론의 분급 실험 결과를 트롬프 곡선으로 나타내었다(Figs. 4~6).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1/N0330560108/images/ksmer_56_01_08_F4.jpg
Fig. 4.

Tromp curves of hydrocyclone products with solid to liquid ratio of 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1/N0330560108/images/ksmer_56_01_08_F5.jpg
Fig. 5.

Tromp curves of hydrocyclone products with solid to liquid ratio of 2%.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1/N0330560108/images/ksmer_56_01_08_F6.jpg
Fig. 6.

Tromp curves of hydrocyclone products with solid to liquid ratio of 5%.

트롬프 곡선 분석 결과, Fig. 3의 평균 입도 분석 결과와 같이 모든 고액비 조건에서 분급 처리에 의해 단계별로 평균 입도가 낮아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실험 조건별 분급 효율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I=\frac{d_{75}-d_{25}}{2d_{50}}$$ (1)

여기서, I는 분급 효율(imperfection)을 나타내며, d75, d25, d50은 각각 selectivity value가 75%, 25%, 50%일 때 통과 입도를 나타낸다. 트롬프 곡선에 의해 분석한 결과 Table 2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고액비가 증가할수록 각 단계별 사이클론의 분급 효율 수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이상적 분급효율에 접근하는 결과를 보였다.

Table 2. Imperfection value of hydrocyclones at a different solid to liquid ratio

Solid to liquid ratio Hydrocyclone #1 Hydrocyclone #2 Hydrocyclone #3
1% 0.44 0.50 0.68
2% 0.42 0.51 0.65
3% 0.42 0.41 0.60

모든 실험 조건에서 트롬프 곡선이 0에 닿지 않는 By-pass효과를 보였다. 이는 사이클론으로 투입된 시료 중 입자의 일부가 분급이 되지 않고 underflow 배출구로 배출된 것을 나타낸다(Cho and Kim, 1999). 이와 함께, 고액비 1%와 2% 조건에서는 입도 70~80 µm 구간에서 Selectivity 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사이클론 분급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들이 underflow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과 함께 overflow 배출구로 함께 배출된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고액비 5% 조건에서는 이러한 Selectivity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다. 고액비 1%와 2% 조건에서는 1 µm 이하 구간에서 selectivity가 높게 나타났으나 고액비가 5%까지 증가하면서 selectivity값의 증가량도 줄어들었다.

트롬프 곡선에서 나타나는 Selectivity 저하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폐콘크리트 슬러지 시료 내 응집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폐콘크리트 처리 공정에서는 응집제를 이용하여 폐콘크리트 슬러리 내의 고체 입자의 응집 작용을 유도한 뒤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고액분리 공정을 진행한다. 이 때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슬러지 내 미분은 응집제에 의해 입자가 뭉쳐진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대로 폐콘크리트 슬러지를 현장에서 채집하여 실험실에서 해쇄 공정을 거친 후 1일 이상 교반한 후 사용하였음에도 미분의 해쇄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입도 분석 과정에는 입자의 분산을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는데, 이로 인해 뭉쳐져 있던 미분이 해쇄되어 2 µm 이하의 미분으로 측정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2 µm 이하의 입자가 뭉쳐진 상태로 underflow로 배출됨으로써 Selectivity 값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 슬러리를 3단계 습식사이클론 분급 시스템을 통해 입도별로 분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원시료를 직접 분급 처리한 습식사이클론 #1의 경우, 원시료의 변동이나 고액비 차이에 따라 산출물의 평균 입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사이클론 #2와 #3에서는 고액비에 따른 평균 입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트롬프 곡선 분석 결과, 고액비에 따른 분급 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낮은 고액비에서는 많은 양의 수분으로 인해 미분과 비교적 큰 입자(>50µm) 분급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폐콘크리트 처리 고정에서 발생하는 슬러리 내 미분의 활용을 위해서는 응집제 처리 전의 슬러리를 대상으로 다단계 습식사이클론 공정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폐콘크리트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리의 고액비가 낮아지면 분급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슬러리 내 미분의 입도 분리 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슬러리 배출 시 고액비를 5% 가량으로 유지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주요사업과제(19-3422)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Cho, H.C. and Kim, J.K., 1999.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the air classification of fly ash. Geosystem Engineering, 2(2), 37-42.
10.1080/12269328.1999.10541138
2
Kim, J., Yoo, K., Choi, H., Choi, U.K., Park, J.H., and Alorro, R.D., 2015b. Fine particle classification and dewatering of tailing using hydrocyclone. J.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4(4), 56-60.
10.7844/kirr.2015.24.4.56
3
Kim, S.C., Kim, Y.T., Shin, D.C., 2012. Effects of aggregate grading on the performance of high-flowing concrete with general strength. J. Korea Inst. Struct. Main. Insp., 16(6), 63-72.
4
Kim, Y.J. and Chung, M.H., 2012. Study on the recyclingof the construction wastes and reformation of the system, J.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20(2), 27-35.
5
Kim, Y.-J., Choi, Y.-W., and Kim, Y.-J., 2015a. Utilizability of waste concrete powder as a material for soil pavement. J. Rec. Const. Resources, 3(3), 277-282.
6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7. 2016 National Wastes Generation and Disposal Status, KECO 2014-PE14-38, p.10-29.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Article 2-(3)-1.
8
Shin, H.-Y., Ji, S.-W., Choi, S.,Park, I.,Yoo, K., Park, J.H., and Alorro, R.D., 2015. Fine Particle Classification and Dewatering of Construction Waste Slurry Using Hydrocyclone.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52(6), 627-631.
10.12972/ksmer.2015.52.6.627
9
Shin, H.-Y., Ji, S.-W., Woo, J.-Y., Ahn, G.-O., and An, S.-H., 2016. A feasibility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y-product sludge generated from waste concrete recycling process.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25(3), 29-36.
10.7844/kirr.2016.25.3.29
10
Song, H., Shin, H.-U., Lee, J.-K., Chu, Y.-S., and Park, D.-C., 2014. Image and phase analysis of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using waste concrete powder. J. Rec. Const. Resources, 2(4), 314-320.
11
Zhan, B.J., Xuan, D.X., and Poon, C.S., 2018. Enhancement of recycled aggregate properties by accelerated CO2 curing coupled with limewater soaking proces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89, 230-237.
10.1016/j.cemconcomp.2018.03.01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