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 Report (Special Iss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31 December 2018. 538-545
https://doi.org/10.32390/ksmer.2018.55.6.538

ABSTRACT


MAIN

  • 서론

  • 1·2단계 광해방지기술개발 추진성과

  • 3단계 기술개발 로드맵 주요 이슈 및 전망

  • 광해관리기술개발 주요 추진성과

  •   수질오염 분야 주요 추진성과

  •   토양개량 및 복원기술

  •   지반침하 자동화 모니터링 및 위험지역 조사기술

  •   광물찌꺼기 무해화 및 재활용기술

  • 3단계 로드맵을 통한 지속가능한 광해관리기술개발 발전방향

  •   광해관리사업 효율 증대를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   미래유망 에너지 산업 광해관리 기술선도

  •   융복합 광해관리기술의 유관 산업분야 연계

  •   사회적 가치 지향형 기술개발 수요대응

  • 결론

서론

광해방지 기술개발은 광산개발 계획수립부터 폐광이후 사후관리 과정까지 전주기적 광업활동에 대한 광산피해의 예측, 조사, 평가, 복원, 사후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축적하고 이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서 광해요인의 예방, 저감 및 원천적 처리에 대한 기술개발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2007년이후 매 5년마다 ‘중장기 광해방지기술개발 전략(“로드맵”)’이 수립하였는데, ‘1단계 중장기 광해방지기술개발전략('07~'11)’은 수질, 토양, 광물찌꺼기, 지반침하 등 기술분야별로 다양한 요소기술 및 처리공법에 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였고, ‘2단계 중장기 광해방지기술개발 전략('12~'16)’은 개발기술 실용화 및 효율향상 연구를 추진하여 왔다.

광해방지 기술개발 3단계 로드맵('17~'21)은 국내 광해방지 요소기술 고도화 및 미래선도형 융복합 기술개발을 통한 고효율 광해관리기술, 선진국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글로벌 기술, 기술사업화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형 기술을 목표로 하고 있다(Kim et al., 2016). 이를 통해 국내 광해복구사업의 효율성 · 경제성 강화와 글로벌 광해관리, 산학연 연계 융복합 기술 성과확산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금번 연구에서는 1,2 단계 기술개발 추진성과와 3단계 기술개발 로드맵의 주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산학연 기술협력 등, 광해방지 인프라 강화를 통한 발전방안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1·2단계 광해방지기술개발 추진성과

Table 1에서 보는바와 같이 1, 2단계 광해방지기술개발('07~'16)을 통하여 오염수질개선, 오염토양개량, 광물찌꺼기 처리, 지반침하 방지, 산림복원 및 폐석유실방지 등 전문사업분야별 핵심기술 및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적용 핵심기술을 확보하였고, 기술성과 보급 및 확산을 위하여 광해방지 기술 표준화, 광해방지 전문 인력 양성교육, 국내외 심포지엄, 기술개발 성과설명회, 광해방지 기술 및 정책 등 전문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해 왔다.

Table 1. Key Achievements of phase 1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Core technology Technical descriptions Output
Natural purification of
mine wastewater
• Technical development required for removal of highly concentrated iron
and manganese ; New processes suitable for the multiprocessing of heavy
metals and process configuration : and long-term maintenance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1).jpg
Portable pollution
measuring device
• System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and toxicity of heavy metals in
mine drainage immediately in a water pollution site
• Required for maintenance of unmanned water treatment facilitie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2).jpg
Soil improvement,
restoration & purification
• Heavy metal contamination Reduction of mobility & dissolution by using
stabilizer on farmland
• Development of equipment creating a balanced stabilization layer of new
stabilizers and effective improvement & restoration work ; and securing
technology required for selective pollutant treatment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3).jpg
Asbestos remover on
contaminated soil
• Asbestos remediation using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asbestos
and soil from high concentration asbestos contaminated soil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4).jpg
Mine Tailings
neutralization and
recycling
• Separation of harmful heavy metals in mineral waste by physical selection
and chemical leaching method
• Tailing neutralization removing hazardous materials in tailing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5).jpg
Mineral waste
recycling technology
• Utilizing detoxificated mine tailings as a raw material for economical and
demanded materials and building material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6).jpg
Automatic mine
subsidence monitoring
• Efficient monitoring of soil behavior and stability by using fiber optic
measurement, TLS, microseismic monitoring
• IoT based Remote integrated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7).jpg
3-D underground
cavern imaging
(MIRECO EYE)
• underground cavity to precisely measure the size and shape of the cavity
in three dimensions
• Using lazer and sona method, 3-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Underground Cavitie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8).jpg
Vegetation mat rock
slope restoration
• Forest Restoration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areas where normal
vegetation is difficult (rock slope, tailing dam etc)
• Reconstruction of forest land and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batement of carbon in abandoned mine area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9).jpg
3D mine GIS & mine
hazard DB (Mirean)
• 3D ARCGIS map digitalization of abandoned mine drawing(underground
mine drift) and min development information
• Effectiveness mine hazard management using mine GIS DB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T1(10).jpg

대표적 성과로는 자연정화처리가 어려운 대용량, 고농도 광산배수의 경제적인 처리가 가능한 수질맞춤형 세미액티브(semi-active) 수질정화처리 설계기술, 광범위한 지반침하지역의 자동화 계측을 위한 미소진동계측 기술, 광물찌꺼기 적치장 실시간 IoT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이들 기술을 활용한 현장 적용 사례, 국산화·상용화 사례를 들 수 있다. 또한 Table 1과 같이 유해중금속의 근원적 제거를 위한 오염토양 중금속 선별처리 기술과 광물찌꺼기 무해화 처리기술을 확보하는 등 적시 · 적정 기술이 적용이 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 및 보급, 기술지원에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지반침하방지 사업을 위하여 개발한 ‘지하공동 형상화 측정기술’을 서울시 도심지 도로하부 공동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슬림화, 경량화, 고속화하는 다양한 특화 모델(M4 기술)을 개발하여 도로 지반 함몰조사 등 지자체의 재난 예방업무에 기여하고 있다.

3단계 기술개발 로드맵 주요 이슈 및 전망

3단계 중장기 광해방지 기술개발전략(2017~2021)에 따른 기술개발의 주요이슈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공단에서도 현장에서 측정한 광해 자료를 취득하기 위한 감지기 및 통신기기를 서로 연결한 사물 인터넷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대체로 산악지역에 위치한 광해방지 시설물은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러한 격오지 현장의 자료를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정보기기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각종 광해현장의 정보를 본사 통제센터에서 제공받는 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이러한 4차 산업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 과제는 ① IoT기반 실시간 광해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② 지능형 광해정보 분석 빅데이터 플랫폼 ③ 광해정보 표준화·자동화를 들 수 있다.

일례로 광물찌꺼기 처리시설에 부착된 온도지시계 · 자동압력기록계 · 수압측정계 · 지하수위계를 이용하여 24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또 하나의 이슈는 수질정화시설 및 광폐석적치장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고 적기에 보수 · 보강을 실시함으로써 시설물의 전 주기에 걸쳐 쾌적한 사용 환경의 유지, 시설물의 안전 확보와 수명연장, 시설물 유지관리 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3단계 광해방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사후관리 시설물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러한 시설에 대한 점검강화와 유지관리 최적화 기술의 조기 확보는 매우 중요해진 상황이다.

이러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유지관리에 관한 매뉴얼을 제작․배포하여 노하우를 축적하고 기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또 하나의 이슈는 광산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되는 수질 및 토양오염 등 복합광해로부터 국민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현장 실용화 중심의 기술고도화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개발한 오염수질의 자연정화공법, 토양정화 및 안정화공법, 지반침하 자동화 계측, 광물찌꺼기 무해화 및 재처리 기술 등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현장여건에 부합하는 고도화된 실용화 기술을 확보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과거 선진국의 기술을 단순히 국내에 적용하던 시기에서 벗어나, 한국형 광산개발 모델에 적합한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우리나라 광해관리 기술자립을 향한 진일보한 발걸음을 내딛는 중요한 시점으로 평가된다. 이를 위하여 폐갱도 갱내수 발생 예측 모델링 프로그램, 광산지역 위해성 평가 프로그램, 급경사지 토양유실량 측정프로그램 등 다양한 핵심 기술들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MIRECO, 2017a). 이들 기술은 광해방지 분야뿐만 아니라 유관 산업인 농림·토목·건축·환경 정화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광해관리기술개발 주요 추진성과

광해관리기술개발의 주요특징은 광해방지 분야별 기술 분석을 통하여 핵심기술의 현장적용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해방지 분야별 기술개발의 주요내용과 추진성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기술개발 과제는 개발 성과의 현장 적용성 강화, 광종별 광산 특성을 고려한 현장맞춤형 기술개발로 이루어지며, 추진체계는 광해오염 예측 · 평가 · 분석, 효율적 광해복원 설계기준 및 시공방법 도출, 복원사업지 효율적 모니터링 기술의 확보 등 선순환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MIRECO, 2017a).

수질오염 분야 주요 추진성과

광산배수처리기술은 광종별 수질오염의 특성이 상이하므로 수질오염원의 특성화, 수질특성별 정화공정 설계기술, 복합오염 광해발생 원인 분석기술, 운영 중인 수질정화시설의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석탄광이 지하수위 하부에서 개발되다가 중단되면 원지하수위가 회복되면서 상승되어 폐갱도를 통하여 광산배수가 발생하며, 황화광물 산화로 산성화된 광산배수는 철, 알루미늄 및 유독성 중금속 등과 동반 배출되어 주변 하천, 농경지 등에 대한 주요 오염원이 된다. 광산배수는 광종별(석탄, 금속, 비금속) 갱내수와 침출수(폐석, 광물찌꺼기) 등 다양한 성인을 가지며, 폐광이후에 반영구적으로 발생되어 지속적인 사후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수질분야기술개발은 주로 광산배수 발생예측 · 특성평가, 중금속 농도 및 독성 오염도 측정기술, 수질 특성별(유량, 오염부하량 등) 수처리 공정 설계기술, 채굴적 산화억제 기술, 정화효율 평가기술, 사후관리기술 개발을 통하여 현장 특성에 맞는 경제적 · 효율적 광산배수 정화기술을 개발하여 왔다(Kim et al,, 2016). 광산배수 처리에 널리 쓰이고 있는 자연정화기술은 석회중화반응, 생물학적 반응기작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정화하는 기술로 운영 유지비용을 최소화한 광산배수 정화공법이다. 하지만, 오염부하가 높고 유량이 많은 광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 Fig. 1과 같이 물리화학적 정화기술과 화학적 처리방법을 융합한 semi-active 기술을 개발하였다(Kim et al., 2018). 이러한 기술개발 성과를 토대로 베트남 퀀닌성 장께 수처리시설 및 인도네시아 칼리만탄 산성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300m3/day) 및 산림복구(5ha) 기술을 지원한 바 있다. 이러한 정화처리 기술의 효율 향상 및 적용성 확대를 위해 핵심 공정인 생물반응기, 알칼리공급조의 개선, 고농도 철 및 망간 제거, 다중중금속 처리를 위한 흡착반응 공정, 유지관리 효율성평가 기술 및 스케일 제거기술을 개발하였고, 최근에는 웹기반의 IoT 활용 수질정화시설 유지관리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F1.jpg
Fig. 1.

MIRECO acid mine drainage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semi-active treatment system.

토양개량 및 복원기술

폐광산 지역의 토양오염을 유발하는 주요 오염원은 무기오염원인 광물찌꺼기, 광산폐석, 오염된 광산배수, 분진 등이다. 토양분야의 기술은 오염농경지 안정화를 위한 객토복원공법의 효율화를 위한 연구가 추진되어 왔다. 오염토양 안정화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토양으로부터 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하는 원위치 복원방법으로서 작물재배에 알맞은 농경지 토양정화에 적합한 기술이다. 비소(As), 카드뮴(Cd), 납(Pb) 등 중금속의 이동성을 저감 혹은 불용화시키는 안정화공법과 안정화제 처리 후에 비오염토를 복토하는 개량법을 접목하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를 위하여 토양오염원의 특성평가, 오염특성에 맞는 안정화제 개발, 복원완료지 중금속 거동특성 평가라는 주제로 기술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오염특성별로 기술 적용의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규 안정화제 물질(광산배수 슬러지, 참치뼈 등 인산질 물질의 혼합물)을 개발 중에 있으며, 광범위한 농경지 복원 시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균질한 안정화층 조성장비를 개발하였다(Ji et al., 2018) 토양안정화 공법은 광산지역 오염 농경지뿐만 아니라 중금속으로 오염된 산업단지, 제련소, 사격장 등의 부지에 적용가능하다. 최근에는 토양안정화 기술뿐 아니라, 오염물질에 대한 선별 처리 기술 및 사후관리 효율화 기술 등 완결형 광해방지사업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 최근에는 Fig.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경사지 토양복원지에 대한 토양유실 억제제 현장평가 및 유실량 예측 프로그램을 상용화하여, 중소기업 등 기술수요기업들에게 기술을 전수하였다(MIRECO, 2018).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F2.jpg
Fig. 2.

Estimation program for soil loss assessment and simplified soil pollution treatment process by selective method.

지반침하 자동화 모니터링 및 위험지역 조사기술

폐광이후 과거에 굴착된 지하공동 및 갱도의 상부가 시간경과에 따른 암반의 이완, 우수기의 지표수 유입에 따른 유효응력 변화 등으로 점진적인 지반침하나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 침하 발생 시기 및 위치를 예측하기 어려운 광산지역 지반침하 특성상 광범위한 지역을 효율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은 상시 존재한다.

광범위한 지반침하 우려지역의 자동계측을 위하여 지열발전 및 셰일가스 탐사에서 사용되는 미소진동 계측기술을 국산화·상용화하였고 이를 ICT기술과 융합하여 옥동광산 등 지반침하 계측 현장에 적용하였다. WIFI, CDMA, 블루투스 등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한 원격 통합계측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스템의 원격제어 및 실시간 지반침하 계측자료의 분석·관리가 가능하도록 꾸준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MIRECO., 2018).

아울러, 2008년 5월 충북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 꽃동네 ‘소망의 집’ 인근 농경지 지반침하 발생시 지하채굴적 자동탐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지하공동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지하공동 3차원 형상화 장비(MIRECO-EYE) 개발이 이루어졌다. Fig. 3에서 보는 MIRECO-EYE는 시추공을 통하여 감지기를 삽입하여 지하갱도 및 채굴적에 대한 정밀한 지하공동의 수치정보 및 영상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도면이 없거나 불확실한 지반정보로 인하여 조사 및 설계가 어려웠던 지하공동 조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반보강충전 등 보강 과정 전중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설계변경 등 분쟁해결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지반안정분야 기술개발 성과는 가행광산 재난관리, 지하매설물 안전관리, 장대 토목구조물 모니터링, 도심지 싱크홀 조사 등 타분야 재난안전 분야에 기술 성과공유가 가능하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F3.jpg
Fig. 3.

Microseismic monitoring software and MIRECO-EYE 3.0.

광물찌꺼기 무해화 및 재활용기술

광물자원의 생산 활동 중 발생하는 광물찌꺼기는 일반적으로 광산 내 혹은 근처의 적치장으로 이송·적치되고 있으며 사면안정과 유실방지공사 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과거에 지어진 광물찌꺼기 적치장은 댐체의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붕괴우려가 있으며, 주로 계곡부에 위치한 적치장 특성상 주변지역의 재산 및 인명 피해 및 생태계 파괴의 우려가 있어, 반영구적인 유지관리 및 개보수가 요구된다. 적치장이 붕괴되지 않더라도 우수 등이 유입되어 침출수가 발생하거나 우기시 광물찌꺼기가 유실되어 주변 하천/지하수 및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는 오염원으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적치장의 고효율 차폐 및 차수기술개발은 물론, 2차 오염 우려 및 사후관리에 대한 부담 없이 유해 중금속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광물찌꺼기 무해화 및 재활용 기술개발을 추진하였다. 광물찌꺼기에 존재하는 유해중금속을 물리적 선별 및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분리, 제거하여 남는 무해화된 원료를 골재나 토건재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Park et al., 2018). 또한 광물찌꺼기 특성에 따라 무해화공정 중에 부가적으로 유용광물을 회수할 수 있어 페루, 칠레 등 자원부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많은 관심을 표명한 바 있다(MIRECO, 2017a). 광물찌꺼기에서 근원적 오염원을 제거하고 다른 용도로 재활용함에 따라 별도의 적치장을 만들어 시설물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미래지향적 광해관리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로 판단된다. 최근에는 Fig. 4와 같이 이동식 무해화시설을 개발하여 소규모 광미유실지역에 대한 시공성 및 친환경성을 향상하는 기술을 구축하였다(MIRECO, 2017b).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F4.jpg
Fig. 4.

Movable detoxification treatment plant and experiment fo mine tailing recycling as a eco materials.

3단계 로드맵을 통한 지속가능한 광해관리기술개발 발전방향

1, 2단계 광해방지 기술개발을 통하여 사업의 효율성과 기술력 제고를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여 성과측면에서 기술 분야별 실용화 확대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3단계 로드맵에서는 이러한 대내외적인 요구에 부합하여 기술개발 성과향상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4가지의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장밀착형 실용화 기술개발 강화, 대내외 이해관계자 대상의 기술개발 성과공유 확산활동을 지속해나가고자 한다.

광해관리사업 효율 증대를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공단의 광해관리기술개발은 외부 전문연구기관이 기초기술에 중점을 두고 공단은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이원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 광해관리기술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광해관리사업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에 공단의 기술개발은 무엇보다도 다양한 광해요인에 대한 현장중심의 맞춤형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례로, 국내에서 광산배수의 처리에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자연정화처리시설의 경우 현장적용에 있어 동절기 효율저하, 슬러지로 인한 막힘(clogging) 현상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운영이 가능토록 하는 방안들을 강구하는 것이 공단 기술개발의 큰 목표이다. 광해관리사업 완료지에 대한 효율적 유지관리기술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광해방지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사업완료지에 대한 효율적 사후관리기술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복합광해의 효율적 처리를 위하여 현시점에서 기술개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미래유망 에너지 산업 광해관리 기술선도

최근 들어 셰일가스를 포함한 비전통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의 개발에 가장 큰 장애로서 환경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희토류의 최대 생산국인 중국은 희토류 생산에 따른 환경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북한은 희토류 매장량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의 개발에 따른 환경문제도 예상된다. 이러한 외부 환경에 대비하여 광해관리 신규수요에 대비한 미래선도 기술개발을 통해, 희토류 친환경 추출 광해발생 억제, 희토류 광해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및 희토류 추출 후 잔사의 방사능 처리방안, 효율적인 용출수 수처리 등 희토류 개발광산에 대한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융복합 광해관리기술의 유관 산업분야 연계

광해관리기술은 수질, 토양, 지반, 산림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적 기술의 총체로서, 타분야의 전문기술을 발전적으로 접목시키고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광해방지를 위한 독자적인 기술영역을 확보하고 있다(MIRECO, 2017c). 이러한 광해방지기술은 고유목적사업인 광해방지사업에의 적용은 물론이고, 환경안전 및 재난안전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광해관리분야에서 개발된 기술을 환경 및 재난 전문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국가기술개발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례로 광산지역에서 축적한 지반침하방지 분야 경험과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도심지 싱크홀 및 주거지 인근 산사태 등 응급 및 재난사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R&S(solution)D 기능을 강화하고자 한다.

사회적 가치 지향형 기술개발 수요대응

내외부 전문가 인터뷰 등에 따르면 자원순환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북한 광해이슈에 대한 선제적 기술개발, 가행광산 광산안전확보를 위한 지반침하 적용기술 등에 대한 수요가 파악되었다. 발전사와 협력연구를 통한 석탄회(저회) 재활용 및 친환경 광해복원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통해 광해방지사업 원가절감 및 토양 복토재 부족 문제 해소로 사업예산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폐 · 경석 소재 · 자원화 기술개발과 폐광지역 도시 광산 자원화 단지 정책연구로 중소기업 스타트업 지원 및 폐광지역 경제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방치된 석탄 폐 · 경석을 원료기반으로 경량소재인 광물섬유, 인공 경량골재 개발로 오염원을 제거하는 연구와 신소재개발 및 폐광지역 자원부산물을 활용한 융합 사업 타당성 검토연구를 통해 광해방지 사업비 예산절감뿐아니라 지역진흥 모델발굴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2016년도 광해실태조사에 따르면, 1, 2단계 광해방지사업의 성실한 수행에도 불구하고, 전국 2,617개소에 오염된 광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3단계 광해방지 기본계획에 따른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완결성이 있는 사업추진을 위한 광해관리기술의 고도화가 추진 중이다(MIRECO, 2016).

3단계 광해방지 기술개발 로드맵을 토대로 지속적인 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광해방지기술 고도화하고 한국형 광해방지 기술기준을 정립하여 광해방지사업 현장 기술지침으로 활용해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MIRECO, 2017c). 더 나아가 해외 광해현장에 접목하기 위한 미래유망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함으로서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가고 국제표준화를 통한 제도화를 도구삼아 국내업체의 해외 광해관리시장 진출을 지원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Fig. 5와 같이 3단계 로드맵 기반의 차별화된 혁신 기술 확보 및 미래유망기술 개발을 통하여 국내 광해관리기술의 사업 효과성 검증은 물론 글로벌 광해관리 시장으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감으로서 한국형 광해방지기술 브랜드화 및 세계화 전략의 완성을 도모코자 한다. 이러한 기술개발 성과 공유 및 확산을 통해 자연스럽게 산학연 동반성장 및 에너지자원업계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기여와 실용화 기술의 민간(전문사업자) 이전 · 사업화가 가능하여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8-055-06/N0330550603/images/ksmer_55_06_03_F5.jpg
Fig. 5.

Modified 3rd stage R & D roadmap includ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current issues, core values of 3rd roadmap and development strategy.

References

1
Ji W.H., Ko M.S., Park M.S., and Park M.J., 2018. Mine reclamation technology on soil amendment, reclamation and remediation. Mine Hazard Prevention Technology and Policy, 11(1), 10-18.
2
Kim C.K., Jeon Y.J., Choi E.H., Kim W.K., Nam D.H., Kim H.S., and Kim M.J,, 2016.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Mine Hazard Prevention Technology and Establishment of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MIRECO report 2017-47,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p.274-276.
3
Kim D.K., Park H.S., Kim D.K., and Oh Y.S., 2018. Mine reclamation technology on mine drainagein abandoned mine area. Mine Hazard Prevention Technology and Policy, 11(1), 3-9.
4
Kim S.L., 2018. Mine reclamation technology on preventing and restorating ground subsidence in mine area. Mine Hazard Prevention Technology and Policy, 11(1), 28-39.
5
Kim, D.M., Park, H.S., and Kim, D.G., 2016. Development of pollution prevention technology on mine waste-water. J. Mine Reclamation Technology and Policy, MIRECO, 10(1), Wonju, Korea, 3-13.
6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7. Development of the Standard for Restoration of the Steep Slope Polluted Soil Reclamated Sites, MIRECO report 2017-43, Wonju, Korea, p.279-295.
7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7a. Mine Reclamation White Book, MIRECO internal report, Wonju, Korea, p.126-131.
8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7b. Report on Technology Development of Mine Tailing Detoxification Mobile Module and Field Application, MIRECO report 2017-45, Wonju, Korea, p.72-76.
9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7c. Technical Criteria on Mine Reclamation Project, MIRECO report 2017-39, Wonju, Korea, p.24-33.
10
Korea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2018a. Achieverment on mine reclamation techrology. J. Mine Reclamation Technology and Policy, ISSN 2466-0191, 12(1), Wonju, Korea, 3-11.
11
Kwon S.D., 2018. Mine reclamation technology on damaged forest recovery. Mine Hazard Prevention Technology and Policy, 11(1), 40-44.
12
Park J.H., 2018. Mine reclamation technology on mine tailing loss prevention and treatment. Mine Hazard Prevention Technology and Policy, 11(1), 19-27.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