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Pap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30 June 2019. 217-226
https://doi.org/10.32390/ksmer.2019.56.3.217

ABSTRACT


MAIN

  • 서 론

  • 실험 재료 및 방법

  •   시료

  •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실험

  •   분석 방법

  • 결과 및 고찰

  •   금광석 시료

  •   금 정광시료

  •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 특성

  • 결 론

서 론

비가시성(invisible gold)이라는 용어는 금이 황철석(FeS2)이나 황비철석(FeAsS)에 고함량(ppm에서 wt.%까지)으로 포함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이 포용광물(host mineral)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고용체(solid solution)를 이루거나, 0.1 µm 이하의 금 입자가 포용광물의 격자구조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은 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Cook and Chryssoulis, 1990). 이러한, 비가시성 금은 기존의 볼밀(ball mill)과 같은 물리적 방법으로 파․분쇄를 해도 완전히 단체분리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이로 인하여 시안용액에 효과적으로 용출되지 않아 난용성 금(refractory gold)이라 한다(Swash, 1988; Komnitsas and Pooley, 1989). 이와 같은 난용성 금광석 및 금정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금을 회수하기 위해 시안용출 전에 소성(roasting)처리를 하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하였다(Swash and Ellis, 1986; Maycock et al., 1990).

비가시성 금이 포획된 황철석과 황비철석도 금정광으로 회수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비소를 고함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금을 비가시성 형태로 포함하고 있는 황철석인 arsenian pyrite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Simon et al.(1999)은 금을 함유한 arsenian pyrite, gold foil(Au0), Au21+S(Au1+) 및 FeAsA(As1-) 등의 시료를 EXAFS(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의 spectra로 조사하여 Au0, Au1+ 및 As1- 등이 arsenian pyrite에 존재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arsenian pyrite에 Au가 고용체로 존재하는 경우 Au1+, 나노 크기 금 입자로 존재하는 경우는 Au0 그리고 비소는 As1-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Reich et al.(2005)은 arsenian pyrite에 존재하는 금과 비소의 함량을 SIMS와 EPMA로 분석한 결과, 고용체 상태의 Au1+가 존재하여 경계곡선 하부에 도시되는 arsenian pyrite 그룹과 나노 크기의 금 입자인 Au0가 존재하여 경계곡선 상부에 도시되는 arsenian pyrite 그룹들이 경계곡선(solubility limit curve)인 CAu=0.02․CAs+4×10-5(CAu=Au mol %, CAs=As mol %)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Sung et al., 2009; Hough et al., 2011; Deditius et al., 2014; Morishita et al., 2018).

나노크기 금 입자(nanoparticle gold)는 5~10 nm 크기로서 둥근 구체(rounded shape) 형태로 arsenian pyrite에 존재한다. 특히, 비소가 arsenian pyrite의 중심(core)보다는 가장자리(rim)에 더 부화되는 것을 에칭(etching)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비소가 존재하지 않는 arsenian pyrite의 중심은 결정도가 양호하지만 비소가 존재하는 가장자리는 구조가 왜곡(distortion)되어 준안정(metastable)상태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나노 크기 금 입자가 존재하는 arsenian pyrite의 matrix는 polycrystalline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leet and Mumin, 1997; Ashley et al., 2000; Palenink et al., 2004; Reich et al., 2005,Reich et al., 2006; Hough et al., 2011). 많은 연구자들이 micro-beam 분석 장비로 arsenian pyrite를 분석한 결과 금이 나노 크기 입자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규명하였지만(Palenink et al., 2004; Reich et al., 2005,Reich et al., 2013; Deditius et al., 2008,Deditius et al., 2014; Liang et al., 2013; Morishita et al., 2018; Yan et al., 2018), 비-가시성 금을 포함하는 금 정광으로부터 나노 크기의 금 입자를 분리하는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우리나라 해남지역의 천열수 광상(epithermal deposit)에서 산출되는 금은 황철석에 자연금(native gold) 상태로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Kim and Choi, 2009). 특히 함금석영맥으로 산출되는 황철석은 비소를 함유한 arsenian pyrite로 산출되고 동시에 금은 비가시성 금 형태로 산출된다. 이런 상태의 금광석을 파․분쇄하여 부유선별하기 때문에 금 정광에는 높은 함량의 비소가 존재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규모 광산에서 비소를 함유하는 황철석인 arsenian pyrite로 구성된 금 정광을 제련소로 납품하고 있다. 이때 수십 혹은 수백 톤의 금 정광을 먼 거리의 제련소까지 운반하다 보니 운반 경비가 막대하게 소요된다. 또한 금 정광에 비소가 2,000 ppm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을 경우 페널티(penalty)를 부과하고 있다.(Tongamp et al., 2009; Celep et al., 2011; Awe et al., 2013; Lane et al., 2016).

비가시성 금을 함유되는 arsenian pyrite로부터 효과적으로 금을 회수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소성처리(roasting treatment)를 한다. 특히, 전기로(electric furnace)와 같은 전통적 가열방법보다 마이크로웨이브 오븐(microwave oven)에서 가열하면 소성효율이 증가된다. 금정광을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가열하면 S와 As는 각각 SO2와 As2O3로 휘발되어 제거된다. 소성과정에서 휘발된 비소가 산화되어 As2O3에서 As2O5로 변환되고 As2O5는 적철석과 결합하여 치밀한 ferric arsenate인 FeAsO4(Fe3+As5+O4)를 형성한다. 이때 금이 치밀한 FeAsO4에 포획되기 때문에 시안이나 비시안 용매에 용출되기 어렵다(Marsden and House, 1992; Thomas and Cole, 2005; Aylmore and Jaffer, 2012).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정광을 소성시키면 부분적으로 용융(melting)되는 현상이 발생된다(Kingman et al., 1999; Amankwah and Pickles, 2009). 정광이 용융되는 원인은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가 시료의 특정지역에 집중되어 열점(hot spot)현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Yoshikawa et al., 2012). 정광시료가 부분적으로 용융되면 다공성 철산화물의 구조가 붕괴되어 금 입자가 봉합(encapsulating)되며, 이로 인하여 금 회수율이 50% 이상 감소된다. 이런 현상을 신터링(sintering)이라 한다(Marsden and House, 1992; Amankwah and Pickles, 2009).

그러나 마이크로웨이브 용출방법을 적용하면 마이크로웨이브 소성과정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용출방법은 고체 시료를 액상의 용매에 혼합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가열하는 것이다(Havlik, 2010; Veres et al., 2010; Bayca, 2013; Wen et al., 2017).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에 의하여 고체 시료와 액상의 용매가 동시에 가열되기 때문에 핫플레이트(hot plate)와 같은 전통적인 용출방법에 비하여 용출시간이 단축되고 용출효율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Veres et al., 2010; Wen et al., 2017). 그러므로 비가시성 금 형태로 산출되는 arsenian pyrite 금정광을 질산용액으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하면 고체 시료에 포함되어 있던 비소와 같은 페널티원소들이 액상의 용매로 용해되기 때문에 소성에서처럼 페널티 원소들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금 정광에 함유된 Fe, Cu, Pb 및 Zn과 같은 원소들은 식 (1)과 같이 용해가 되지만 arsenian pyrite에 존재하는 비가시성 금은 용해되지 않고 고체 잔류물에 남는다(Mao, 1991; Martinez et al., 1993; Droppert and Shang, 1995; Hoffman et al., 1998; Kinoshita et al., 2003; Gao et al., 2009; Jotanovic et al., 2012; Kim et al., 2017).

$$FeS_2+4HNO_3=Fe(NO_3)_3+NO(g)+2S^0\;+\;2H_2O$$ (1)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을 수행하면 금 정광의 arsenian pyrite는 효과적으로 용해되지만 나노 크기의 금 입자들은 용해되지 않고 고체 잔류물로 남아있게 되고, 식 (1)에서처럼 원소 황이 남을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에 의해서 금 정광의 arsenian pyrite는 대부분이 용해되기 때문에 고체 잔류물은 무게 감소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무게 감소율이 매우 크기 때문에 금 정광의 운반경비가 절감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 정광의 arsenian pyrite에 포함된 비가시성 금, 나노 크기의 금 입자를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 방법으로 분리하고 동시에 고체 잔류물에서 나노 입자의 금을 효과적으로 회수하는 것이다.

실험 재료 및 방법

시료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주)S시멘트의 금 광산에서 생산되는 금 정광이다. 이 금 정광시료에 대하여 물리 ‧ 화학적 및 광물학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도분석, X-선 회절분석 및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금 함량분석은 기기분석과 납 시금법(Lead fire assay)을 통해 각각 분석하였다(Table 1).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raw gold concentrate by ICP-OES, AAS and fire assay (Unit : mg/kg)

Elements Fe Pb Cu Zn
Contents 417,940.57 11,262.14 8,167.65 30,428.90
Elements Bi AsAAS Au (fire assay) Ag
Contents 115.90 1,524.50 74.85 (88.30) 2,629.28

AAS; AAS analysis for As, (lead fire assay); lead fire assay analysis for Au.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실험

금 정광 시료 50.0 g과 질산용액 1,000 ml를 5 L 삼각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산업용 마이크로웨이브 오븐(capacity = 20 L, 2.45 GHz, 3 kW)에서 농도, 시간 및 시료 첨가량 조건에 따라 각각 용출실험을 진행하였다. 용출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용출용액의 과열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 응축기(reflux condenser, length = 80 cm)를 연결하고 물(12°C)을 순환시켰다. 용출실험이 종료된 후, 삼각 플라스크의 표면 온도를 적외선 온도계(testo 835-T1, Germany, ±1.0°C)로 측정하였으며, 질산 용출용액과 고체잔류물을 0.45 µm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고체잔류물은 40°C의 건조기(dry oven)에서 건조한 후, 금 함량을 ICP-OES와 Lead-fire assay로 각각 분석하였다. 고체잔류물에 대한 왕수분해는 마이크로웨이브 전처리장비(microwave digestion system, MARS 6, USA)에서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

입도분석 및 XRD분석

금 정광시료에 대한 입도분석은 Mastersizer-3000E 입도 분석기(Marvern Panalytical, United Kingdom)를 이용하였다. 먼저, 순수한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탁도를 조사하여 영점 조정 후, 시료를 첨가하여 혼탁도가 5-20%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레이저 빔을 분산되는 시료에 조사하여 산란되는 각도 변화를 총 5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이를 평균 입도 크기로 나타내었다. 금 정광시료와 고체잔류물에 대한 XRD 분석(X’pert PRO MRD, Panalytical, United Kingdom)은 Cu-Ka선을 이용하여 가속전압 40 kV, 전류 30 mA, 주사속도 2°/min.으로 3°~70°의 2θ 구간을 분석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금 정광 시료와 고체잔류물은 마이크로웨이브 전처리장비를 이용하여 각각 분해하였다. 시료 0.5 g과 왕수용액 10 ml를 4개의 closed-vessel에 넣고, 15분 동안 200°C까지 올리고 15분 동안 유지 그리고 15분 동안 냉각시켰다. 냉각된 용출용액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최종체적(final volume)이 20 ml가 되도록 증류수로 각각 조정 후, 0.45 µm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금과 비스무스의 함량은 ICP-OES(Optima 5300 DV, Perkin Elmer, USA)로 분석하였으며, 비소함량은 질산팔라듐(Pd(NO3)2)을 첨가하여 AAS(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A-7000, Shimadzu, Japan)의 graphite furnace(GFA-7000A)로 분석하였다. 금속함량은 4회 분석 값을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납 시금법

금 정광시료와 고체잔류물시료 10.0 g을 각각 산화납(litharge, 35 g), 소다회(soda ash, 70 g), 붕사(borax, 12 g), 규사(silica, 12 g) 등과 함께 초벌구이 도가니(fire clay crucible)에 장입하고 질산은(AgNO3) 용액 20 mg을 첨가하였다. 이 도가니들을 머플(muffle) 도가니에 넣고 공기를 공급하면서 940°C에서 40분간 가열 후, 공기를 차단한 상태로 1150°C에서 1시간 동안 용융시켰다. 용융체를 철 거푸집(iron mold)에 부어 자연 냉각한 다음 유리질 슬래그와 납추(lead button)를 망치로 가격하여 분리하였다. 납추는 큐펠 도가니에 넣어 940°C에서 40분간 가열하여 납이 도가니 내부로 흡수 되도록 하였다. 도가니 바닥에 남은 silver bead를 회수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히팅블록(heating block)에서 20 % 질산 15 ml를 첨가하여 150°C로 30분간 용해시켜 은을 제거하였다. 금 잔류물에 포함되어 있는 은과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850°C에서 5분 동안 가열한 다음, 순수한 금을 회수하여 품위를 계산하였다.

결과 및 고찰

금광석 시료

금광석 시료를 대상으로 연마편을 제작하여 편광반사현미경에서 황철석을 관찰하였지만, 금 입자 혹은 엘렉트럼(electrum)은 확인되지 않았다. 황철석 표면을 진한 질산으로 에칭(etching)한 결과, 황철석의 중심과 가장자리구조가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황철석에서도 금 입자는 확인되지 않았다(Fig. 1). 금 정광은 비가시성 형태로 산출되는 금광석을 파․분쇄 후 부유선별 하여 획득된다. 따라서 금 정광에 포함된 금도 비가시성 금(invisible gold) 형태일 것으로 사료된다(Ashley et al., 2000; Morishita et al., 2018).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1.jpg
Fig. 1.

Microphotographs of gold ore sample. Reflected light microscopy (open nicols), Etching of pyrite grains before (a and c) and after (b and d) with concentrated HNO3 solution. The scale bar is 100 µm in length (Ch; chalcopyrite, Py; pyrite).

금 정광시료

금 정광시료에 대하여 입도분석(particle size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D20 = 0.33 µm, D80 = 70 µm 그리고 D50 = 21 µm로 나타났다(Fig. 2). 금 정광의 XRD 분석결과, 황철석, 석영 및 백운모가 관찰되었다(Fig. 3).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2.jpg
Fig. 2.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raw gold concentrate. solid line; residue distribution curve, dotted line; cumulative distribution curve.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3.jpg
Fig. 3.

XRD pattern of raw gold concentrate.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 특성

농도효과

질산농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금 정광 50.0 g과 질산용액 1,000 ml를 농도별(1.0 - 6.0 M)로 삼각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결과,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용출용액의 온도가 증가하였으며, 1 M의 질산농도에서 가열온도가 92.3°C, 2 M에서 92.9°C, 3 M에서 94.5°C, 4 M에서 97.5°C, 5 M에서 106.4°C 그리고 6 M에서 112.4°C로 나타났다(Fig. 4).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4.jpg
Fig. 4.

Temperature of leaching solution as a function of HNO3 concentration (conditions; sample = 50.0 g, leaching time = 10 min, microwave power = 3 kW).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실험을 질산농도별로 수행하고 남은 고체 잔류물을 왕수분해하여 비소와 비스무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비소는 질산농도 1 M에서 1.67 %, 2 M에서 24.78 %, 3 M에서 32.37 %, 4 M에서 68.35 %, 5 M에서 74.63 % 그리고 6 M에서 72.73 %가 제거되었다. 비스무스는 1 M에서부터 6 M까지 모두 100 % 제거되었다(Fig. 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5.jpg
Fig. 5.

Removal ratio of As and Bi on the solid-residue as a function of HNO3 concentration (conditions; sample = 50.0 g, leaching time = 10 min, microwave power = 3 kW).

금 정광시료를 질산농도별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하고 고체 잔류물을 회수하여 무게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고체 잔류물에 함유된 금 함량은 ICP-OES와 납 시금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체잔류물의 무게 감소율과 금 함량은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고체잔류물의 무게 감소율은 1 M의 질산농도에서 24.66 %, 2 M에서 58.2 %, 3 M에서 80.36 %, 4 M에서 87.24 %, 5 M에서 89.74 % 그리고 6 M에서 90.26 %로 나타났다.

금 정광시료를 왕수분해하여 ICP-OES로 금 함량을 분석한 결과 81.36 g/t이였고, 금 정광시료를 납 시금법으로 분석한 결과, 88.30 g/t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왕수분해하여 ICP-OES로 금 함량을 분석한 결과 1 M에서 76.68 g/t, 2 M에서 161.11 g/t, 3 M에서 328.67 g/t, 4 M에서 561.35 g/t, 5 M에서 666.52 g/t 그리고 6M에서 689.00 g/t으로 나타났다.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납 시금법으로 금 함량을 측정한 결과 1 M에서 109.90 g/t, 2 M에서 201.00 g/t, 3 M에서 433.70 g/t, 4 M에서 648.60 g/t, 5 M에서 820.60 g/t 그리고 6 M에서 1269.80 g/t으로 나타났다(Fig. 6).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6.jpg
Fig. 6.

Weight loss ratio and gold content of solid-residue as a function of HNO3 concentration (conditions; sample = 50.0 g, leaching time = 10 min, microwave power = 3 kW).

질산농도별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실험에서 회수된 고체잔류물에 대한 XRD분석결과, 질산농도 1 M의 고체잔류물에서는 석영과 황철석이 검출되었으며, 2 M에서 5 M로 증가할수록 황철석의 peak들은 점점 감소되었으며 원소 황(S0)의 peak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원소 황의 peak들이 나타나는 원인은 식 (1)과 같이 질산에 의하여 황철석이 용해되고 원소 황(S0)이 고체잔류물에 남기 때문이며, 이를 육안을 통해 확인하였다. 1 M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빙장석(adularia)이 2 M에서부터 6 M에서 나타나고 있고, 백운모는 4 M에서부터 6 M에서 나타나고 있다.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빙장석과 백운모가 나타나는 원인은 황철석이 질산에 의해 용해되었기 때문에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던 백운모와 빙장석의 피크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황철석이 완전히 제거된 질산농도 6 M에서는 석영, 백운모, 빙장석 그리고 원소 황이 나타나고 있다(Fig. 7). 빙장석은 해남지역의 천열수 광상에서 일반적으로 산출되는 맥석광물이다(Kim and Choi, 2009).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7.jpg
Fig. 7.

XRD patterns of the solid-residue after microwave- nitric acid leaching (conditions; sample = 50.0 g, leaching time = 10 min, microwave power = 3 kW). A; adularia, M; muscovite, Q; quartz, S; sulfur.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실험을 질산농도별로 반복수행하여 고체잔류물의 무게가 10.0 g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회수된 고체잔류물 10.0 g을 각각 납 시금법에 사용하였다. 고체잔류물을 융제와 혼합하여 940°C - 1150°C로 용융(fusion), 940°C에서 큐펠레이션(cupellation), 20% 질산용액에서 150°C로 분금(parting) 그리고 850°C에서 가열(annealing)하여 금 입자들을 각각 회수하였다. 회수된 금 입자들에 대하여 각각 SEM-EDS분석을 하였다. SEM에서 금 입자를 관찰 한 결과,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금 입자들의 크기가 증가하였다(Fig. 8).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8.jpg
Fig. 8.

SEM image of gold particles after fire assay (a; 1 M, b; 2 M, c; 3 M, d; 4 M, e; 5 M, f; 6 M).

시간효과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에 따른 시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금 정광 50.0 g과 5 M HNO3 1,000 ml를 삼각플라스크에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시간별(5-20분)로 용출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간별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실험이 종료된 즉시 삼각플라스크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5분 가열하였을 때 88.50°C, 10분일 때 104.20°C, 15분일 때 108.60°C, 20분일 때 119.30°C, 25분일 때 120.20°C 그리고 30분 가열했을 때 121.80°C로 나타났다(Fig. 9). 이와 같은 결과는 마이크로웨이브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질산용액과 금 정광시료가 효과적으로 가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9.jpg
Fig. 9.

Temperature of leaching solution as a function of leaching time (conditions; sample = 50.0 g, HNO3 concentration = 5 M, microwave power = 3 kW).

시간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용출 후 회수된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왕수분해를 하여 비소와 비스무스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소 제거율은 5분 용출하였을 때 51.08 %, 10분일 때 98.22 %, 15분 일 때 98.57 %, 20분일 때 98.91 %, 25분일 때 98.81 %, 30분일 때 99.12 %로 나타났으며, 비스무스의 경우 용출시간 5분 이후에서 모두 제거되었다(Fig. 10).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10.jpg
Fig. 10.

Removal ratio of As and Bi on the solid-residue as a function of leaching time(conditions; sample = 50.0 g, HNO3 concentration = 5 M, microwave power = 3 kW).

회수된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건조 후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왕수분해와 납 시금법을 각각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금 정광시료에 대한 고체잔류물의 무게 감소율 범위는 78.94 - 89.14%로 나타난다(Fig. 11). 최대 무게 감소와 금 함량이 나타나는 용출시간은 20분으로 확인되었으며, 금 함량은 왕수분해에서 735.29 g/t, 납 시금법에서 759.10 g/t으로 각각 나타났다(Fig. 1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11.jpg
Fig. 11.

Weight loss ratio and gold content of solid-residue as a function of leaching time (conditions; sample = 50.0 g, HNO3 concentration = 5 M, microwave power = 3 kW).

시료첨가 효과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에 따른 시료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5 M HNO3 1,000 ml 용액을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금 정광시료를 첨가하였다. 시료를 5% - 18%(g/ml × 100 %) 범위로 변화시켜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결과, 시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용출용액의 가열온도가 감소하였다(Fig. 12).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12.jpg
Fig. 12.

Temperature of leaching solution as a function of solid-liquid ratio (conditions; HNO3 concentration = 5 M, leaching time = 20 min, microwave power = 3 kW).

시료 첨가량별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실험 후 회수된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왕수분해 후 비소와 비스무스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소의 제거율은 감소하였으나, 비스무스는 시료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두 제거되었다(Fig. 13).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13.jpg
Fig. 13.

Removal ratio of As and Bi on the solid-residue as a function of sample addition(conditions; HNO3 concentration = 5 M, leaching time = 20 min, microwave power = 3 kW).

시료 첨가량별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실험에서 회수된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 감소율로 나타냈다. 그 결과, 시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 감소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왕수분해와 납 시금법을 수행하여 금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금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다(Fig. 14).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19-056-03/N0330560301/images/ksmer_56_03_01_F14.jpg
Fig. 14.

Weight loss ratio and gold content of solid-residue as a function of sample addition (conditions; HNO3 concentration = 5 M, leaching time = 20 min, microwave power = 3 kW).

결 론

(1) 금을 함유하는 광석광물에 대하여 에칭을 통한 현미경관찰을 수행한 결과, 황철석 결정이 중심부분과 가장자리 구조로 나타나며, 금 입자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비 가시성 형태로 존재할 것으로 사료된다.

(2) 비가시성 금을 함유하는 정광으로부터 금을 선별하기 위해 질산농도, 용출시간 그리고 시료 첨가량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질산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질산농도 및 용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시료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용출용액의 온도, 무게 감소율, 비소와 비스무스의 제거율 및 금 함량이 증가하였다.

(3) 최대 금 함량이 얻어지는 조건은 질산농도 5 M, 용출시간 20분, 시료 첨가량 5%로 확인되었으며, 이때의 금 함량은 732.30 g/t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무게 감소율은 88.82% 그리고 비소와 비스무스는 모두 제거되었다.

(4)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향후 상용화에 적용 한다면 정광시료의 무게감소로 인하여 운반 경비를 절감 할 수 있고 동시에 비소와 비스무스에 대한 페널티 부과금을 면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 함량 증가에 따른 금 정광의 판매로 인한 매출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이논문은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2016000014001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며, 연구비를 지원해준 환경산업기술평가원에 감사한다.

References

1
Amankwah, R.K. and Pickles, C.A., 2009. Microwave roasting of a carbonaceous sulphidic gold concentrate. Minerals Engineering, 22(13), 1095-1101.
10.1016/j.mineng.2009.02.012
2
Ashley, P.M., Creagh, C.J., and Ryan, C.G., 2000. Invisible gold in ore and mineral concentrates from the Hillgrove gold-antimony deposits, NSW, Australia. Mineralium Deposita, 35(4), 285-301.
10.1007/s001260050242
3
Awe, S.A., Sundkvist, J.E., Bolin, N.J., and Sandstrom, A., 2013. Process flowsheet development for recovering antimony from Sb-bearing copper concentrates. Minerals Engineering, 49, 45-53.
10.1016/j.mineng.2013.04.026
4
Aylmore, M. and Jaffer, A., 2012. Evaluating process options for treating some refractory ores. Alta 2012 International gold Conference, Burswood Convention Centre, Perth, Western Australia.
5
Bayca, S.U., 2013. Microwave radiation leaching of colemanite in sulfuric acid solution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105(5), 24-32.
10.1016/j.seppur.2012.11.014
6
Celep, O., Alp, I., and Deveci, H., 2011. Improved gold and silver extraction from a refractory antimony ore by pretreatment with alkaline sulphide leach. Hydrometallurgy, 105(3), 234-239.
10.1016/j.hydromet.2010.10.005
7
Cook, N.J. and Chryssoulis, S.L., 1990. Concentrations of invisible gold in the common sulfides. The Canadian Mineralogist, 28(1), 1-16.
8
Deditius, A.P., Reich, M., kesler, S.E., Utsunomiya, S., Chryssoulis, S.L., Walshe, J., and Ewing, R.C., 2014. The coupled geochemistry of Au and As in pyrite from hydrothermal ore deposit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40(1), 644-670.
10.1016/j.gca.2014.05.045
9
Deditius, A.P., Utsunomiya, S., Penock, D., Ewing, R.C., Ramana, C.V., Becker, U., and kesler, S.E., 2008. A proposed new type of arsenian pyrite: composition, nanostructure and geological significanc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2(12), 2919-2939.
10.1016/j.gca.2008.03.014
10
Droppert, D.J. and Shang, Y., 1995. The leaching behaviour of nickeliferous pyrrhotite concentrate in hot nitric acid. Hydrometallurgy, 39(1), 169-182.
10.1016/0304-386X(95)00034-E
11
Fleet, M.E. and Mumin, A.H., 1997. Gold-bearing arsenian pyrite and marcasite and arsenopyrite from Carlin trend gold deposits and laboratory synthesis. American Mineralogist, 82, 182-193.
10.2138/am-1997-1-220
12
Gao, G., Li, D., Zhou, Y., Sun, X., and Sun, W., 2009. Kinetics of high-sulphur and high-arsenic refractory gold concentrate oxidation by dilute nitric acid under mild conditions. Minerals Engineering, 22(2), 111-115.
10.1016/j.mineng.2008.05.001
13
Havlik, T., 2010. Microwave leaching of chalcopyrite-possible improvement in hydrometallurgy. Metal, 64(5), 25-28.
14
Hoffman, E.L., Clark, J.R., and Yeager, J.R., 1998. Gold analysis-fire assaying and alternative methods. Explor. Mining Geol, 7, 155-160.
15
Hough, R.M., Noble, R.R.P., and Erich, M., 2011. Natural gold nanoparticles. Ore Geology Reviews, 42(1), 55-61.
10.1016/j.oregeorev.2011.07.003
16
Jotanovic, A., memic, M., Suljagic, S., and Huremovic, J., 2012. Comparison of x-ray fluorescent analysis and cupellation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old in gold jewellery alloy. Bulletin of the Chemists and Technologists of Bosnia and Herzegovina, 38(13), 13-18.
17
Kim, C.S. and Choi, S.G., 2009. Potassium-Argon Ages of the Epithermal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the Haenam-Jindo Area, Southwestern Korea. Resource Geology, 59(4), 415-421.
10.1111/j.1751-3928.2009.00108.x
18
Kim, E., Horckmans, L., Soppren, J., Vrancken, K.C., Quaghebeur, M., and Broos, K., 2017. Selective leaching of Pb, Cu, Ni and Zn from secondary lead smelting residues. Hydrometallurgy, 169, 372-381.
10.1016/j.hydromet.2017.02.027
19
Kingman, S.W., Corfield, G.M., and Rowson, N.A., 1999. Effect of microwave radiation upon the mineralogy and magnetic processing of a massive Norwegian ilmenite ore. Magnetic and Electrical Separation, 9(3), 131-148.
10.1155/1999/57075
20
Kinoshita, T., Akita, S., Kobayashi, Nii, S., N. and Kawaizumi, F., 2003. Metal recovery from non-mounted printed wiring boards via hydrometallurgical processing. Hydrometallurgy, 69(1), 73-79.
10.1016/S0304-386X(03)00031-8
21
Komnitsas, C. and Pooley, F.D., 1989.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refractory gold ores. Minerals Engineering, 2(4), 449-457.
10.1016/0892-6875(89)90080-0
22
Lane, D.L., Cook, N.J., Grano, S.R., and Ehring, K., 2016. Selective leaching of penalty elements from copper concentrates: a review. Minerals Engineering, 98, 110-121.
10.1016/j.mineng.2016.08.006
23
Liang, J.l., Sun, W.d., Li, Y.l., Zhu, S.y., Li, H., Liu, Y.l., and Zhai, W., 2013. An XPS study on the valence states of arsenic in arsenian pyrite; implications for Au deposition mechanism of the Yang-Shan Carin-type gold deposit, Western Qinling belt. J. Asian Earth Sciences, 62, 363-372.
10.1016/j.jseaes.2012.10.020
24
Mao, S.H., 1991.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invisible gold in a Carlin-type gold deposit in China. American Mineralogist, 76, 1964-1972.
25
Marsden, J. and House, I., 1992. The chemistry of gold extraction, Ellis Horwood, 597p.
26
Martinez, L.L., Segarra, M., Fernandez, M., and Espiell, F., 1993. Kinetics of the dissolution of pure silver and silver-gold alloy in nitric acid solution. Metallurgical Transactions B, 24(5), 827-837.
10.1007/BF02663143
27
Maycock, A.R., Nahas, W., and Watson, T.C., 1990. Review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roasters for refractory gold bearing materials. In; Gold '90: proceedings of the Gold '90 Symposiums, Salt Lake City, Utah, February 26 to March 1, 389-396.
28
Morishita, Y., Shimada, N. and Shimada, K., 2018. Invisible gold in arsenian pyrite from the high-grade Hishikari gold deposit, Japan: significance of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Au/As ratios in pyrite. Ore Geology Reviews, 95, 79-93.
10.1016/j.oregeorev.2018.02.029
29
Palenink, C., Utsunomiya, S., Reich, M., Kes;er, S.E., Wang, L. and Ewing, R.C., 2004. "Invisible" gold revealed: direct imaging of gold nanoparticles in a Carlin-type deposit. American Mineralogist, 89(10), 1359-1366.
10.2138/am-2004-1002
30
Reich, M., Deditius, A., Chryssoulis, S., Li, J.W., Ma, C.Q., Parada, M.P., Barra, F., and Mittermayr, F., 2013. Pyrite as a record of hydrothermal fluid evolution in a porphyry copper system: a SIMS/EPMA trace element study.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04, 42-62.
10.1016/j.gca.2012.11.006
31
Reich, M., kesler, S.E., Utsunomiya, S., Palenik, C.S., Chryssoulis, S.L., and Ewing, R., 2005. Solubility of gold in arsenian pyrit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9(11), 2781-2796.
10.1016/j.gca.2005.01.011
32
Reich, M., Utsunomiya, S., Kesler, S.E., Wang, L., Ewing, R.C., and Becker, U., 2006. Thermal behavior of metal nanoparticles in geologic materials. Geology, 34(12), 1033-1036.
10.1130/G22829A.1
33
Simon, G., Huang, H., penner-Hahn, J.E., Kesler, S.E., and Kao, L.S., 1999. Oxidation state of gold and arsenic in gold-bearing arsenican pyrite. American Mineralogist, 84, 1071-1079.
10.2138/am-1999-7-809
34
Sung, Y.H., Brugger, J., Viobanu, C.L., Pring, A., Skinner, W. and Nugus, M., 2009. Invisible gold in arsenian pyrite and arsenopyrite from a multistage Archaean gold deposit: Sunrise Dam, eastern goldfields province, western Australia. Miner Deposita, 44(7), 765-791.
10.1007/s00126-009-0244-4
35
Swash, P.M. and Ellis, P., 1986. The roasting of arsenical gold ores: a mineralogical perspective. Extractive metallurgy of Gold, a mineralogical perspective. Gold 100.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old. Vol 2: Extractive Metallurgy of Gold. Johannesburg, Saimm, p.235-257.
36
Swash, P.M., 1988. Mineralogical investigation of refractory gold ores and their benefici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arsenical ores. J. the South African Institute of Mining and Metallurgy, 88, 173-180.
37
Thomas, K.G. and Cole, A.P., 2005. Roasting developments-especially oxygenated roasting, In; Mike, D.(eds). Developments in Mineral processing, 15, 403-432.
10.1016/S0167-4528(05)15017-0
38
Tongamp, W., Takasaki, Y., and Shibayama, A., 2009. Arsenic removal from copper ores and concentrates through alkaline leaching in NaHS media. Hydrometallurgy, 98(3), 213-218.
10.1016/j.hydromet.2009.04.020
39
Veres, J., Jakabsky, S., and Lovas, M., 2010. Comparison of conventional and microwave assisted leaching of zinc from the basic oxygen furnace dust. Minerallia Slovaca, 42, 369-374.
40
Wen, T., Zhao, Y., Xiao, Q., Ma, Q., Kang, S., Li, H., and Song, S., 2017. Effect of microwave-assisted heating on chalcopyrite leaching of kinetics, interface temperature and surface energy. Results in Physics, 7, 2594-2600.
10.1016/j.rinp.2017.07.035
41
Yan, J., Hu, R., Liu, S., Lin, Y., Zhang, J., and Fu, S., 2018. NanoSIMS element mapping and sulfur isotope analysis of Au-bearing pyrite from Lannigou Carlin-type Au deposit in SW China: new insight into the origin and evolution of Au-bearing fluids. Ore Geology Revirws, 92, 29-41.
10.1016/j.oregeorev.2017.10.015
42
Yoshikawa, N., Xie, G., Cao, Z., and Louzguine, D.V., 2012. Microstructure of selectively heated (hot spot) region in Fe3O4 powder compacts by microwave irradiation. J.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32(2), 419-424.
10.1016/j.jeurceramsoc.2011.08.028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