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Pap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30 April 2022. 173-181
https://doi.org/10.32390/ksmer.2022.59.2.173

ABSTRACT


MAIN

  • 서 론

  • 국내 광업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와 완화 전략

  •   광업계 디지털 정보격차 현황

  •   광업계 디지털 정보격차 완화 전략

  • 작업 일지 앱(MPMS Lite) 개발 사례

  •   MPMS Lite 개발 방법

  •   MPMS Lite 개발 결과

  •   MPMS Lite 현장실험 설계 및 결과

  • 결 론

서 론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처음 제기된 4차 산업혁명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을 통해 물리 세계의 한계성을 디지털 전환으로 극복하여 새로운 경제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Kim, 2017; Yoon et al., 2018).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첨단 정보통신 기술은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융합되어 사회 전반에 큰 변화와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새로운 혁명의 등장은 기존에 형성된 모든 산업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산업은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Kim, 2019). 지난 수십 년간 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 혁명의 기초가 되는 스마트 기기와 인터넷이 보편화되었고, 현재에는 4차 산업혁명 직면과 함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빅데이터, 자율주행과 같은 첨단 기술이 사회 전반에서 범용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의 보편화와 새롭게 적용되는 첨단 기술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디지털 정보격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사회적으로 인종, 성별, 연령 등에 따라 차별받거나 소외되는 계층이 있을 때 더욱 심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서 수행한 4대 정보취약계층(저소득층, 장애인, 농어민, 고령층)의 정보격차 실태조사에서는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일반 국민 대비 72.8%로 나타나고 있다(MSIT and NIA, 2020). 특히,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고령층이 68.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농어민(77.3%), 장애인(81.3%), 저소득층(95.1%)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Fig. 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1.jpg
Fig. 1.

Status of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y vulnerable class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100%) (modified from MSIT and NIA, 2020).

광업 분야에서도 안정성과 생산성 제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지털 전환과 첨단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하였으며, 관련 기술의 개발은 탐사에서 채광 및 선광에 이르기까지 광산 개발 전 공정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Kim et al., 2013; Lim et al., 2014; Kim, 2017; Yoon et al., 2018). 대표적인 사례로 Bellanca et al.(2019)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법을 활용하여 미래 채광공정을 사전에 가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광산용 VR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Kim et al.(2021)은 아두이노와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하여 광산 현장의 중장비와 작업자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마트 헬멧을 개발하였다. 이 외에도 광산 개발 공정에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을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 장비 추적 및 모니터링, 생산공정 최적화, 생산관리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Jung et al., 2016; Jung and Choi, 2017; Baek et al., 2017; Baek et al., 2018).

국내 광업계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ICT 무인·자동화 기술의 적용을 희망하고 있으나 많은 투자 비용이 소요된다는 이유로 신기술의 도입과 적용 수준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낮은 수익구조로 인해 기술 개발, 안전시설 확충, 친환경 관리와 같은 투자여력이 매우 부족하고, 현장 기능인력의 고령화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디지털 정보격차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광업계에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정보격차의 대표적인 사례로 트럭과 로더 운전기사가 생산 작업 시 수기로 작성하는 작업 일지가 있다. Park and Choi (2021)는 태블릿 PC와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하여 광산 현장의 원석 생산 데이터를 기록하고 작업 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연구지역 맞춤형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른 광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여건에 맞춰 다시 개발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광업계의 현실과 현장 기능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나타나는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모든 광산 현장에서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작업 일지 작성 앱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광업계의 실태와 디지털 정보격차의 현황을 살펴보고 광산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업 일지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작업 일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앱에서 기록될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개발 및 도입 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성이 쉽고 재미있는 작업 일지 앱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가행 중인 광산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다음 개발된 앱의 테스트와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국내 광업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와 완화 전략

광업계 디지털 정보격차 현황

국내 광산의 경우 연간 매출액 1억 원 미만의 광산이 전체 광산의 47%를 차지하고, 10억 원 미만의 광산이 73%를 차지할 만큼 매우 영세한 특징을 보인다(Fig. 2). 낮은 수익구조로 인해 새로운 기술에 대한 투자여력이 부족하고, 열악한 작업환경 등으로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열악한 작업환경, 갱내 광산 심부화로 인한 재해위험 증가, 장비 현대화 미흡과 같은 문제는 광업계의 만성적인 인력 부족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광산 근로자의 경우 내국인만 고용하도록 하고 있어 외국인 근로자를 통한 단순 기능인력 확보도 어렵다. 실제로 2018년 기준 광산업계의 인력 수요는 약 400명이었으나 취업자는 약 350명으로 50여 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MOTIE, 2020). 광업 종사자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장 기능인력의 고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 Fig. 3은 전 산업 대비 광업 종사자의 평균연령을 나타낸 것으로 지난 10년간 광업 조사자의 평균연령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2.jpg
Fig. 2.

Number of mines by sales volume in Korea(modified from MOTIE, 2020).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3.jpg
Fig. 3.

Average age of workers in the mining industry compared to all industries(KOSIS, 2022).

광산의 영세성과 근로자 고령화 문제로 인해 국내 광업계의 디지털 정보격차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 광업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생산 작업 도중 작성하는 작업 일지가 있다. 광산 현장에서 원석을 적재, 운반 혹은 하역할 때 로더와 트럭 운전기사는 작업 일지를 수기로 작성하고 있다. Fig. 4는 트럭 운전기사가 생산 작업 도중 작업 일지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광산 현장에서는 Fig. 5(a)와 같이 작업 일지 양식에 맞춰 생산 정보를 기록하고 있지만 일부 광산에서는 Fig. 5(b)와 같이 특정 양식 없이 일지를 작성하고 있다. 작성된 생산 일지는 하루 생산 작업이 종료된 이후 현장 관리자에 의해 취합되고 관리된다. 장비 운전자에 의해 수기로 작성되는 작업 일지는 차량 운행 도중 작성되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우려가 항상 존재하며, 어두운 갱내 환경에서 작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트럭 운전기사의 경우 원석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차량이 잠시 정차하기 때문에 일지를 작성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지만 로더 운전기사의 경우 원석의 적재작업뿐만 아니라 주변 작업장 정리와 같은 다른 작업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일지를 작성할 시간적 여유가 매우 부족하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4.jpg
Fig. 4.

Examples of a machine operator handwriting a daily work report. (a) At the loading point. (b) At the dumping poin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5.jpg
Fig. 5.

Examples of daily work reports used in mining sites in Korea. (a) Daily work report written in a specific format. (b) Daily work report written without a specific form.

광업계 디지털 정보격차 완화 전략

스마트 마이닝은 4차 산업혁명과 신기후변화체제에 대비하여 친환경, 고효율, 저비용, 무재해 광산 현장 구현을 위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인공지능,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광물자원 개발 현장에 도입한 것을 의미한다(Choi and Yi, 2020). 국내 광산에서도 생산성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마이닝 구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과 실제 기술을 활용하게 될 근로자의 낮은 디지털 수준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광업 종사자들은 새로운 기술 도입으로 인한 일자리 상실, 신기술에 대한 거부 및 불신과 같은 고정관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광업계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과 최종적으로 스마트 마이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내 광산 현장의 여건을 제대로 파악하고 고령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격차를 고려해 관련 요소기술을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수기로 작성하던 작업 일지를 대체할 수 있는 작업 일지 앱을 개발한다면, 고령의 기능인력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초기 투자비용이 거의 없어야 하며, 새로운 방식에 대한 동기부여도 제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Fig. 6).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6.jpg
Fig. 6.

Schematic of strategies for developing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for mines.

작업 일지 앱(MPMS Lite) 개발 사례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광업계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정보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광산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업 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앱인 MPMS Lite(Min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Lite)를 개발하였다. 또한, 국내 가행 중인 광산 현장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다음 개발된 MPMS Lite 앱을 테스트하였으며, 예비 실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 및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국내 광산 현장에서는 원석 생산에 대한 정보를 작업 일지를 통해 기록하고 있으며, 일지는 생산 작업에 투입되는 장비(트럭 및 로더) 운전기사에 의해 수기로 작성되고 있다. 기존에 수기로 작성되는 작업 일지는 광산의 작업환경으로 인해 작성에 대한 어려움이 있으며, 장비의 운행 도중에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위험성도 항상 존재한다. 관리자 입장에서는 작업이 종료된 다음 수기로 작성된 일지를 취합, 디지털화(스캔) 하여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Park and Choi(2021)는 국내 광산 4곳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다음 블루투스 비콘과 태블릿 PC를 이용해 작업 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앱은 현장 맞춤형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른 광산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앱 개발이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트럭 운전기사가 작성하는 작업 일지만 작성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국내 모든 광산 현장에서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트럭과 로더의 작업 일지를 작성할 수 있는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MPMS Lite 개발 방법

MPMS Lite는 앱을 실제로 사용할 근로자의 디지털 수준, 광산의 재정 및 투자여력, 신기술 도입에 대한 거부감과 같은 광산 현장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전환과 관련한 문제를 사전에 파악한 다음 이를 완화하기 위한 3가지 전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쉽다”, “저렴하다”, “재밌다”의 3가지 전략을 수립하여 앱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먼저, “쉽다”의 전략은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의 사용자도 앱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쉬운 사용성을 갖추기 위해 국내 4곳의 광산에서 활용 중인 트럭 및 로더의 작업 일지 샘플을 확보한 다음 일지에 기록되는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MPMS Lite 앱에서 기록할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앱을 사용할 작업환경, 실사용자의 스마트 기기 활용 및 접근 수준을 고려하여 장비별, 사용 난이도 별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장비별로 트럭과 로더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사용자의 디지털 수준을 고려하여 조작이 쉬운 모드와 다소 어려운 모드로 구성하여 총 4개의 모드로 설계하였다. MPMS Lite를 이용하여 작성한 작업 일지는 1차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일지는 인터넷이 가능한 구역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되도록 설계하여 데이터의 유실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앱의 공유 기능을 이용하여 작성한 일지를 사용자가 직접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기 때문에 작업 일지의 관리 및 분석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렴하다”의 전략은 낮은 매출 규모로 투자여력이 부족한 국내 광산의 실정을 고려하여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PMS Lite를 무료로 배포할 수 있도록 앱 개발 시 3가지 도구를 활용하였다. 구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Android OS)와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도구인 앱 인벤터(App inventor)를 활용하여 앱을 개발하였다. 앱에서 작성되는 일지를 온라인상에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인 파이어베이스(Firebase)를 활용하여 서버를 구축하였다.

“재밌다”의 전략은 MPMS Lite의 사용자가 겪게 될 새로운 방식 도입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이다. 웹사이트 혹은 모바일 앱과 같은 게임 외의 환경에서 게임의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기술인 게이미피케이션을 앱 개발에 도입하여 사용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켰다. 게이미피케이션의 3대 요소는 경쟁, 목적, 보상으로 구성되나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생산 작업에 대한 목표를 달성할 때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방식인 목적 요소와 레벨 상승 및 엠블럼을 지급하는 보상 요소를 결합하여 앱을 설계하였다. 경쟁 요소의 경우 안전이 최우선 되어야 하는 광산 현장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개발 과정에서 제외하였다.

MPMS Lite 개발 결과

MPMS Lite의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수준이 다소 낮은 고령층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해 광산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트럭과 로더의 작업 일지를 확보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광산 현장마다 서로 다른 양식의 작업 일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지에 포함되는 항목도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트럭 작업 일지의 경우 날짜 정보, 차량 및 운전자 정보, 작업 내용을 공통적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시간, 작업장(적재 혹은 하역), 특이사항, 정비사항에 대한 정보는 1개 광산을 제외하고 모든 광산에서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더 작업 일지에는 트럭과 마찬가지로 날짜 정보, 차량 및 운전자 정보, 작업 내용을 동일하게 기록하고 있었으며, 추가적으로 적재작업을 수행한 시간을 모든 광산에서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이사항, 정비사항, 유류 사용량에 대한 정보는 3개 광산에서 기록하고 있었으며, 적재작업을 수행한 작업장 정보와 주행거리 정보는 2개 광산에서 기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날씨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을 앱 상에서 기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다만, 장비별, 사용 난이도별 모드에 따라 기록하는 항목은 서로 다르게 구성하였다.

Table 1.

Result of analysis of daily work report used in 4 mine sites

Daily work report Truck Loader
Mines A B C D A B C D
Items Date
Time ×
Weather × × × × × × ×
Driver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Work detail
Loading place × × ×
Load weight × × × × × × ×
Distance driven × × × × ×
Oil consumption × × ×
Maintenance details × ×
Significant × ×

MPMS Lite 앱의 인터페이스는 크게 환경설정 화면, 생산정보 입력 화면, 작업 일지 기록 화면의 3가지 화면으로 구성하였다. 환경설정과 작업 일지 기록 화면의 경우 장비별, 사용 난이도별로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항목을 입력하고 출력한다(Fig. 7). 환경설정 화면에서는 차량 및 사용자 정보와 앱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앱을 처음 사용할 때 한 번만 입력하면 시스템에 정보가 저장된다(Fig. 7(a)). 따라서 앱을 실행할 때마다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로서 사용자가 생산작업을 수행하고 생산정보를 입력한 것에 대한 마일리지와 획득한 엠블럼(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작업 일지 기록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생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화면에서 장비의 정비내역, 주행거리, 주유량, 가동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Fig. 7(b)). 작성된 작업 일지는 스마트 기기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고 저장된 작업 일지는 공유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플랫폼과 공유할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7.jpg
Fig. 7.

MPMS Lite application user interface. (a) Settings (b) Work report record.

생산정보 입력 화면은 장비별(트럭/로더), 사용 난이도별(A, B)로 4가지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Fig. 8은 트럭의 생산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생산정보 입력 화면에는 생산 작업이 수행된 날짜 및 시간, 차량 및 운전자 정보, 획득한 엠블럼(레벨)이 4가지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출력된다. 환경설정 화면에서 트럭 A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생산정보 입력 화면은 Fig. 8(a)와 같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광석 생산, 폐석 운반과 같은 생산 작업 정보(작업 내용)를 선택한 다음 작업을 한번 수행할 때마다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여 쉬운 사용성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트럭 B 모드(Fig. 8(b))에서는 사용자가 적재 혹은 하역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적재 장소, 제품, 하역 장소, 하역 방식을 선택하여 입력해야 한다. 트럭 A 모드에 비해 입력해야 하는 항목이 많아 사용 난이도가 비교적 높다. 사용자는 앱을 처음 사용할 때 광산 현장의 적재 및 하역 장소의 명칭, 제품명, 하역 방식을 입력해야 하며, 한번 입력된 항목은 생산정보 입력 화면의 리스트에 저장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8.jpg
Fig. 8.

User interface of the screen for inputting production information into the MPMS Lite application. (a) Truck A mode. (b) Truck B mode.

Fig. 9는 환경설정 화면에서 로더를 선택하였을 때 출력되는 화면이다. 로더의 경우에도 사용 난이도에 따라 로더 A와 로더 B 모드로 구분된다. 로더 A 모드(Fig. 9(a))에서는 사용자가 적재작업을 수행한 장소를 선택한 다음 적재작업을 1회 완료할 때마다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작업량을 기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로더 B 모드(Fig. 9(b))에서는 사용자가 적재 장소를 비롯해 적재한 제품, 적재작업을 수행한 트럭까지 선택하도록 화면을 구성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9.jpg
Fig. 9.

User interface of the screen for inputting production information into the MPMS Lite application. (a) Loader A mode. (b) Loader B mode.

MPMS Lite 현장실험 설계 및 결과

MPMS Lite 앱의 작동을 테스트하고 예비 실사용자의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포천에 위치한 삼양리소스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이 광산은 철광석과 티탄 철을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트럭과 로더를 이용해 생산된 원석을 파쇄장으로 운반하고 있다. 개발된 앱의 작동 테스트는 조사자가 생산 작업에 투입된 트럭에 직접 탑승하여 수행하였고, 만족도 조사는 생산 작업이 종료된 다음 예비 실사용자를 집합시켜 조사를 수행하였다. 작동 테스트는 조사자가 트럭에 탑승한 다음 운전자에게 앱의 사용법을 설명한 다음 운전자가 앱을 이용하여 작업 일지를 작성해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만족도 조사는 응답자의 일반현황, 스마트 기기 사용 역량, 기존 작업 일지 작성 방식의 만족도, MPMS Lite 앱의 편의성, 기존 작업 일지 구현 정도,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문항은 만족도를 4단계로 구분하여 정성적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Fig. 10은 조사자가 직접 장비에 탑승하여 수행한 MPMS Lite 작동 테스트와 생산작업이 종료된 다음 수행한 만족도 조사를 보여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mer/2022-059-02/N0330590205/images/ksmer_59_02_05_F10.jpg
Fig. 10.

MPMS Lite field experiment. (a) User test. (b) Satisfaction survey.

조사에 참여한 트럭 및 로더 운전자들의 연령은 만 50세 이상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와 문자메시지를 활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었으나 이 외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사용 빈도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존에 수기로 작성하였던 작업 일지의 경우 어두운 갱내 환경에서 일지를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과 어려움, 일지를 작성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만족도 조사에 참여한 운전자들은 몇 번의 화면 터치로 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는 것에 매우 만족감을 나타내었으며, 기존 작업 일지의 구현에 있어서도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앱의 유저 인터페이스와 디자인도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일지를 작성할 시간이 현저히 부족한 로더 운전자보다 트럭 운전자에게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완전 자동으로 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앱이 업데이트되면 좋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광업계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장 기능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나타나는 디지털 정보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광산 현장에서 작성하고 있는 작업 일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MPMS Lite 앱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행 중인 4곳의 광산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트럭과 로더의 작업 일지를 확보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앱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앱의 인터페이스는 장비별, 사용 난이도별로 4가지 모드로 설계되었으며 고령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모든 광산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무료 개발도구인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와 앱 인벤터, 파이어베이스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재정 여건상 신기술 개발 및 도입에 부담이 있는 광산들도 저렴하게 도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기존 방식에 대한 선호와 새로운 방식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가질 수 있는 예비 실사용자들의 유인을 위해 앱에 게임 요소를 추가하여 개발하였다. 국내 광산 1곳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다음 개발된 MPMS Lite의 작동 테스트와 만족도 조사를 수행한 결과, 예비 실사용자들은 앱의 편의성, 사용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기존의 작업 일지도 제대로 구현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광산 현장에서 개발된 MPMS Lite 앱을 도입하여 활용하면 생산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인력과 이를 관리하는 인력의 업무 효율은 매우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국내 광업계의 현실로 인해 나타나는 디지털 전환의 어려움과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를 조금이나마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광업의 경우 다른 산업과 비교했을 때 작업여건이 훨씬 열악하고 디지털 전환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 마이닝 구축을 위해 빠른 속도로 디지털 전환을 진행하는 것보다 광산 현장의 여건을 제대로 파악하고 필요한 요소 기술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다음 개발 및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새로운 기술은 쉬운 사용성을 갖추고 초기 투자비용도 저렴해야 한다. 국내 광업의 디지털 정보격차는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요소 기술들을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도입하는 방식으로 점차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해외자원개발협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과제명: 자원개발 산학협력 컨소시엄-스마트 마이닝 전문 인력 양성, 과제번호: 2021060003).

References

1
Baek, J., Choi, Y., Lee, C., Suh, J., and Lee, S., 2017, BBUNS: Bluetooth beacon-based underground navigation system to support mine haulage operations. Minerals, 7(12), 228p. 10.3390/min7110228
2
Baek, J., Suh, J., and Choi, Y., 2018, Analysis of reviewed signal strength index from bluetooth beacons to develop proximity warning systems for underground mi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5(6), p.604-613. 10.32390/ksmer.2018.55.6.604
3
Bellanca, J.L., Orr, T.J., Helfrich, W.J., Macdonald, B., Navoyski, J., and Demich, B., 2019, Develop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for Mining Research, Mining, Metallurgy & Exploration, 36, p.597-606. 10.1007/s42461-018-0046-230906920PMC6423544
4
Choi, Y. and Yi, H., 2020, Trend of mineral resource development technolo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ITP Weekly ICT Trends 1935, p.13-24.
5
Jung, J. and Choi, Y., 2017, Measuring transport time of mine equipment in an underground mine using a bluetooth beacon system, Minerals, 7(1), 1p. 10.3390/min7010001
6
Jung, J., Baek, J., and Choi, Y., 2016, Analysis of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Bluetooth Beacon Technology for Utilization in the Min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26(3), p.143-153. 10.7474/TUS.2016.26.3.143
7
Kim, H.T., 2017, The future values of natural resources. EMRD, 14, p.20-23.
8
Kim, H.T., 2019,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of the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development industr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6(5), p.514-528. 10.32390/ksmer.2019.56.5.514
9
Kim, S.S., Son J.Y., and Park, J.h., 2013, IT convergence technology trends based on big data analytics in the digital oil field, ETRI, 28(4), p.1-9.
10
Kim, Y., Baek, J., and Choi, Y., 2021, Smart Helmet-Based Personnel Proximity Warning System for Improving Underground Mine Safety, Applied Sciences, 11(10), 4342p. 10.3390/app11104342
11
KOSIS, 2022.03.28.,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8&tblId=DT_118N_PAYN42&conn_path=I2.
12
Lim, J.T., Park, H.W., and Lim, J.S., 2014,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of digtal oil field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1(5), p.750-756. 10.12972/ksmer.2014.51.5.750
13
MOTIE, 2020, 3rd Mining Master Plan, p.7-18.
14
MSIT and NIA, 2020,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p.2-29.
15
Park, S. and Choi, Y., 2021, Bluetooth Beacon-Based Mine Production Management Application to Support Ore Haulage Operations in Underground Mines, Sustainability, 13(4), 2281p. 10.3390/su13042281
16
Yoon, D.W., Kim, S.M., Kim, J.S., Park, K.S., Park, H.W., Byun, J.M., Suh, J.W., Lee, C.W., Jang, I.S., Cho, S.J., and Choi, Y., 2018,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for natural resources development, CIR, Korea.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