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0 Vol.47, Issue 5 Preview Page
31 October 2010. pp. 690-704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GIS analysis model combined with Frequency Ratio (FR)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at evaluates and predicts subsidence hazard around abandoned coal mine. A spatial database was compiled based on data from topographical map, borehole data and mine drift map including the locations of past subsidences. Eight factors (i.e., drift depth, drift density, distance from drift, distance from road, groundwater level, rock mass rating, slope, flow accumul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subsidence events based on the frequency ratio model (statistical method).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was used to weight each factor affecting subsidence occurrences. As a result, subsidence hazard mapping using different models were performed and verification of prediction accuracy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area under curve (AUC) technique. The proposed GIS model in the study gives a measure of subsidence initiation localities and can be useful tool for mine planners and developers for their effective mine reclamation planning.
본 연구에서는 빈도비모델과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폐탄광 지역의 광역적 지반침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GIS 분석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모델은 지반침하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요인(갱도의 심도, 갱도의 밀도, 갱도로부터의 거리, 도로로부터의 거리, 지하수위, RMR, 경사도, 강우 누적 흐름량)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폐광산 지역의 상대적 지표침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통계 기반의 빈도비 모델을 이용하여 침하와 영향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판단에 기반을 둔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영향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정량화하였다. 강원도 정선의 폐광산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된 공간데이터베이스에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광역적 범위의 상대적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관찰된 실제 침하지역과 비교 검증하여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빈도비 모델과 계층분석기법 결합 모델의 예측 정확도는 각각 89.7%, 87.4%로 나타났으며, 제시된 분석모델은 광해관리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분석 도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김기동, 2006,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 예측 및 검증,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2. 김종우, 송원경, 장광택, 2007, “지하갱도가 지반침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제44권, 제3호, pp. 208-217.
  3.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2005, 정선정암지역 지반안정성 정밀조사보고서, 기술총서 2005-10, p. 18.
  4. 이동길, 조영도, 정용복, 송원경, 2008, “사례조사에 의한 국내 지반침하 특성분석 연구,” KIGAM Bulletin, 제12권, 제1호, pp. 1-10.
  5. 정용복, 송원경, 강상수, 2008, “갱도의 심도 정보만을 고려한 지반침하위험도 평가법 개발,” 터널과 지하공간, 제18권, 제4호, pp. 272-279.
  6. 지정배, 김종우, 2000, “원형공동의 점진적인 붕락에 따른 지표침하 특성,” 터널과 지하공간, 제10권, 제1호, pp. 33-44.
  7. 최성웅, 김재동, 최광수, 2009,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예측을 위한 퍼지추론기법 적용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제19권, 제5호, pp. 463-472.
  8. 최성웅, 전양수, 박의섭, 정용복, 천대성, 2005, “지반침하메커니즘 분석 및 평가 프로그램 개발,” 터널과 지하공간, 제5권, 제3호, pp. 195-212.
  9. 최요순, 박형동, 선우춘, 정용복, 2009, “인도네시아 파시르석탄 노천광산의 사면붕괴 위험도 평가를 위한 퍼지 이론과 계층분석절차 기법의 적용,”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제46권, 제1호, pp. 45-60.
  10. 최요순, 선우춘, 박형동, 2006, “광해방지를 위한 대규모 석탄 노천광의 배수설계 최적화,”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제43권, 제5호, pp. 429-438.
  11. 최종국, 김기동, 이사로, 김일수, 원중선, 2007, “GIS 및 확률모델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 위험 예측,” 자원환경지질, 제40권, 제3호, pp. 295-306.
  12. 한국광해관리공단, 2008, 한국형 광산지역 지반침하의 안정성 평가기법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총서 2008-43, pp. 123-125.
  13. 한국광해관리공단, 2009, 광해방지사업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연구보고서, p 88.
  14. Akgun, A., Dag, S. and Bulut, F., 2008,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for a landslide-prone area (Findikli, NE of Turkey) by likelihood-frequency ratio and weighted linear combination models,” Environmental Geology, Vol. 54, pp. 1127-1143.
  15. Baek, J., Kim, S. -W., Park, H. J., Jung, H. S., Kim, K. D. and Kim, J. W., 2008,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in coal mining area using SAR interferometry,” Geosciences Journal, Vol. 12, No. 3, pp. 277-284.
  16. Bascetin, A., 2007, “A decision support system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for the optimal environmental reclamation of an open-pit mine,” Environmental Geology, Vol. 52, pp. 663-672.
  17. Choi, J. -K., Kim, K. D., Lee, S. and Won, J. -S., 2010, “Application of a fuzzy operator to susceptibility estimations of coal mine subsidence in Taebaek City, Ko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 Vol. 59, pp. 1009-1022.
  18. Esaki, T., Kimura, T. and Shikata, K., 1989, “Subsidence and environmental impacts In Japanese coal mining,” Proceedings of the 30th U.S. Symposium on Rock Mechanics (USRMS), pp. 511-518.
  19. Goel, S. C. and Page, C. H., 1982, “An empirical method for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chimney cave occurrence over a mning area,”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 Abstracts, Vol. 19, No. 6, pp. 325-337.
  20. Jung, H. -C., Kim, S. -W., Jung, H. -S., Min, K. -D. and Won, J. -S., 2007, “Satellite observation of coal mining subsidence by persistent scatterer analysis,” Engineering Geology, Vol. 92, pp. 1-13.
  21. Kim, K. D. Lee, S. R., Oh, H. J., Choi, J. K., and Won, J. S., 2006, “Assessment of ground subsidence hazard near an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using GIS,” Environmental Geology, Vol. 50, No. 8, pp. 1183-1191.
  22. Kim, K. D., Lee, S. and Oh, H. J., 2009,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in Samcheok City, Ko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GIS,” Environmental Geology, Vol. 58, pp. 61-70.
  23. National Coal Board, 1975, Subsidence Engineer’s Handbook, National Coal Board Mining Department, London, p. 111.
  24. Peng, S. S., 1993, Surface subsidence engineering, SME-AIME, Little, CO., pp. 127-133.
  25. Saaty, T. L., 1977,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Vol. 15, pp. 234-281.
  26. Waltham, A. C., 1989, Ground subsidence, Blackie & Son Ltd, New York, pp. 49-97.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 Publisher(Ko) :한국자원공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Title(Ko)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Volume : 47
  • No :5
  • Pages :69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