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Paper
-
Water Quality Changes and Composition of Precipitates during Lime Neutralization of the Drainage from Ilgwang Mine
일광광산 광산배수 소석회 중화처리시 수질 변화 및 침전물 구성
-
Youngwook Cheong, Giljae Yim, Dong-Wan Cho, Joonhak Lee, Euiyoung Seo
정영욱, 임길재, 조동완, 이준학, 서의영
-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the composition of precipitates when the drainage from Ilgwang Mine was neutralized with …
본 연구에서는 일광광산 광산배수를 소석회로 중화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수질변화와 침전물 구성을 평가하였다. 금속 수산화물 양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중화실험을 수행하고 수질 분석, 침전물 …
-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the composition of precipitates when the drainage from Ilgwang Mine was neutralized with lime. The amount of metal hydroxides was theoretically calculated. Neutraliz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llowed by water quality analysis, precipitate weight measurement,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Water quality analysis showed that Fe, Al, Mn, Cu, and Zn components were removed at pH 9. Based on a flow rate of 100 m³/d, the amount of metal hydroxides was calculated as 45 kg/d, and the precipitate generation ranged from 70 to 90 kg/d within the neutralization pH range of 7–10. The precipitates were found to include metal precipitates, gypsum, calcite minerals, and some unreacted lime. The precipitate amount measured on-site was 30–40%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neutralization experiments. The pH operating range of the neutralization reactor is considered to influence the generation of unreacted lime.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일광광산 광산배수를 소석회로 중화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수질변화와 침전물 구성을 평가하였다. 금속 수산화물 양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중화실험을 수행하고 수질 분석, 침전물 무게 측정 및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질분석 결과 pH 9에서 Fe, Al, Mn, Cu, Zn 성분이 제거되었다. 유량 100 m3/d 기준으로 금속 수산화물 양은 45 kg/d로 계산되었고, 중화 pH 7–10 범위에서 침전물 발생량은 70–90 kg/d로 나타났다. 침전물은 금속 침전물, 석고 및 방해석 광물은 물론 일부 미반응 소석회가 포함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장의 침전물 양은 중화실험 침전물 양보다 30–40% 많게 측정되었다. 중화반응조의 pH 운전 범위가 미 시용 소석회 발생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Water Quality Changes and Composition of Precipitates during Lime Neutralization of the Drainage from Ilgwang Mine
-
Research Paper
-
Variation of Fluorine Concentration in Soil according to Quicklime and Distillation Temperature
생석회와 증류온도에 따른 토양 중 불소농도 변화 연구
-
Dong Jun Shin, Ji Young Kang, Sung Hyen Cho, Dae Guen Yun, Ji Cheol Kwon, Jeong Wook Kim, Myung Chae Jung
신동준, 강지영, 조성현, 윤대근, 권지철, 김정욱, 정명채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jor source of error in soil fluoride analysi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istillation temperature …
본 연구는 토양 중 불소 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오차 요인을 규명하고, 분석 정확도 향상을 위해 증류법에서의 증류 온도 및 …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jor source of error in soil fluoride analysi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istillation temperature and purity of the quicklime on measured fluoride concentrations. Fluoride levels were analyzed in eight quicklime products (four domestic and four international). The highest fluoride concentration (141.3 mg/kg) was detected in Indian quicklime, while Chinese quicklime showed the lowest (7.6 mg/kg). Domestic products contained 20–40 mg/kg, exceeding the quantification limit of 10 mg/kg. Distillation conducted between 130 and 140 °C showed that fluoride recovery peaked at 135 °C (430.7 mg/kg). In comparison, the lowest recovery occurred at 130 °C (390.0 mg/kg), indicating that even slight changes in temperature can significantly affect results. Reproducibility tests demonstrated that fluoride dete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origin and purity of the quicklime. Even quicklime with less than 98% purity still proved suitable for 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cise temperature control, regular equipment calibration, and appropriate selection of quicklime should be considered to ensure accurate and reliable soil fluoride analysis.
- COLLAPSE
본 연구는 토양 중 불소 분석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오차 요인을 규명하고, 분석 정확도 향상을 위해 증류법에서의 증류 온도 및 흡착제로 사용되는 생석회 순도에 따른 불소 함량 변화를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국가 및 제품별 생석회를 대상으로 불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인도산 생석회에서 141.3 mg/kg으로 가장 높은 농도가 검출되었으며, 중국산은 7.6 mg/kg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국내 시판되는 4개 생석회 제품은 모두 20 ~ 40 mg/kg 수준으로, 정량한계인 10 mg/kg을 초과하는 불소가 검출되었다. 또한, 증류 온도를 130°C에서 140°C까지 변화시키며 분석한 결과, 135°C에서 430.7 mg/kg으로 가장 높은 불소 농도가 나타났고, 130°C에서는 390.0 mg/kg으로 가장 낮아 약 40 mg/kg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증류 온도의 미세한 차이도 분석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표 시료를 활용한 재현성 실험에서는 생석회의 순도 및 제조국에 따라 불소 검출량에 차이가 있었으며, 순도가 98% 미만인 생석회도 분석에 충분히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 중 불소 분석 시 증류 온도의 정밀한 제어가 필수적이며, 사용되는 생석회의 순도 역시 분석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확한 온도 유지, 장비의 주기적인 교정 및 점검, 적절한 생석회 선택이 불소 분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
Variation of Fluorine Concentration in Soil according to Quicklime and Distillation Temperature
-
Research Paper
-
Field-Measured Vehicle Signal Comparison with Modeled Response of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현장 차량 신호 및 분포형 광섬유 센싱 반응성 모델링 비교 분석
-
Seunghun Choi, Byoungjoon Yoon, Yongchae Cho
최승훈, 윤병준, 조용채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ving vehicle-induced sources and simulated quasi-static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DAS) signals over an arbitrary …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차량 유발 송신원 특성을 분석하고, Flamant-Boussinesq 근사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2D 지형에서의 준정적(quasi-static) 영역 분포형 음향 센싱(DAS) 신호를 시뮬레이션한다. 이는 …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ving vehicle-induced sources and simulated quasi-static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DAS) signals over an arbitrary 2D terrain using the Flamant-Boussinesq approximation. The DAS response was modeled based on strain and strain rate values, taking into account arbitrarily curved fiber optic layouts. Various vehicle movement scenarios were assessed and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vehicle speed, gauge length, channel spacing, and wheel spacing were analy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raffic monitoring technology by providing insights into vehicle-induced source characteristics and to the advancement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COLLAPSE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차량 유발 송신원 특성을 분석하고, Flamant-Boussinesq 근사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2D 지형에서의 준정적(quasi-static) 영역 분포형 음향 센싱(DAS) 신호를 시뮬레이션한다. 이는 임의의 곡선형 광섬유 배치를 고려한 DAS 응답을 변형률(strain) 및 변형률 속도(strain rate) 값을 기반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수행한다. 다양한 차량 이동 시나리오를 테스트하여 차량의 속도, 게이지 길이(gauge length), 채널 간격(channel spacing), 축 간격(wheel spacing) 등의 변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소스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교통 모니터링 기술의 향상뿐만 아니라,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Field-Measured Vehicle Signal Comparison with Modeled Response of Distributed Acoustic Sensing
-
Research Paper
-
Application of Thinning in Stochastic Inversion of Seismic Data
탄성파 탐사의 추계학적 역산에서의 가늘게 하기 기법의 적용
-
Seunghoon Han, Yongchae Cho
한승훈, 조용채
- Compared to deterministic approaches, stochastic inversion offers unique advantages, such as uncertainty analysis and the ability to escape local minima problems. However, …
탄성파 탐사 자료에 대한 추계학적 역산은 불확실성 분석이나 국소값 탈출 등 고유한 장점을 가지지만, 태생적으로 많은 연산량과 저장 용량을 요구한다. 저장 용량 …
- Compared to deterministic approaches, stochastic inversion offers unique advantages, such as uncertainty analysis and the ability to escape local minima problems. However, this method inherently requires significant computational resources and storage capacity. To address the storage requir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thinning to 3D stochastic inversion. Based on the data from the Norne field in Norway, a comparison of thinning across Markov chains of varying lengths revealed that when the chains converged sufficiently to the target distribution, thinning caused minimal distortion to the posterior distribution, as evidenced by RMS error analysis. This approach not only efficiently reduced storage requirements but also enhanced the independence of Markov chains by decreasing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
- COLLAPSE
탄성파 탐사 자료에 대한 추계학적 역산은 불확실성 분석이나 국소값 탈출 등 고유한 장점을 가지지만, 태생적으로 많은 연산량과 저장 용량을 요구한다. 저장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탄성파 탐사 자료의 추계학적 역산에서 가늘게 하기를 적용하여 저장 용량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노르웨이 Norne 지역의 현장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길이의 마르코프 체인에 대해 가늘게 하기를 비교한 결과, 체인이 충분히 분포에 수렴한 경우 가늘게 하기를 적용해도 사후 분포의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평균 제곱근 오차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저장 용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자기상관계수 감소로 마르코프 체인의 독립성도 향상되었다.
-
Application of Thinning in Stochastic Inversion of Seismic Data
-
Research Paper
-
Modeling and Simulation of an Integrated CO2 Transport-Injection-Storage System for Geological Sequestration in a Depleted Gas Field
고갈가스전의 CO2 지중저장을 위한 CO2 수송-주입-저장 통합 시스템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구
-
Minkyung Chae, Suin Choi, Soeun Yoon, Tea-Woo Kim, Baehyun Min
채민경, 최수인, 윤소은, 김태우, 민배현
- This study investigated integrated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geological CO2 storage system in a depleted gas field. The integrated CO …
본 연구는 고갈가스전을 대상으로 CO2 지중저장 시스템의 통합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CO2 수송-주입-저장 과정을 포함하는 통합 시스템은 육상 허브 …
- This study investigated integrated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geological CO2 storage system in a depleted gas field. The integrated CO2 transport-injection-storage system consists of a reservoir model and a facility model that includes an onshore CO2 source, subsea pipelines, offshore platforms, and injection wells. The reservoir model characteristics, such as model size, grid system, faults, and permeability, were set based on literature on a depleted gas field in Australia. Facility specifications such as well locations and subsea pipeline trajectories were set based on literature on the operational plans of a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project. Using the integrated model, we conducted a numerical simulation injecting 10 MtCO2 per annum for 20 years. We also analyzed the cumulative CO2 injection and pressure changes under the maximum allowable injection pressure condition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ntegrated modeling of various geological CO2 storage systems.
- COLLAPSE
본 연구는 고갈가스전을 대상으로 CO2 지중저장 시스템의 통합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CO2 수송-주입-저장 과정을 포함하는 통합 시스템은 육상 허브 터미널, 해저 파이프라인, 해상 플랫폼, 주입정 등 설비 모델과 저장층 모델을 구성한 후 연계하여 구축하였다. 저장층 모델은 고갈가스전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저장층 규모, 격자 구조, 단층, 유체투과율 등을 설정하였다. 주입정 위치, 해저 파이프라인의 궤도 등 설비 정보는 고갈가스전의 CO2 지중저장 전환 및 운영 계획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설정하였다. 구축한 CO2 지중저장 시스템의 통합 모델을 이용하여 연간 약 1천만 톤의 CO2를 20년간 주입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최대 허용 주입 압력 조건 하에서의 CO2 누적 주입량과 압력 변화 등 거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한 방법론과 절차는 향후 다양한 CO2 지중저장 시스템의 통합 모델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Modeling and Simulation of an Integrated CO2 Transport-Injection-Storage System for Geological Sequestration in a Depleted Gas Field
-
Technical Report
-
Study on the Removal of Algal Blooms and Nutrients through Domestic Kaolin Application
국내 고령토 살포를 통한 녹조와 영양염류 제거 연구
-
Hyeop-Jo Han, Hyung-Jun Park, Jong-Un Lee
한협조, 박형준, 이종운
- Harmful algal blooms (HABs), caused by eutrophication, threaten aquatic ecosystems by producing toxins. Loess is widely used to control HABs in South …
부영양화로 인한 조류대발생(HABs)은 독소를 생성하여 수생 생태계를 위협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HABs 방제를 위해 황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황토의 대체물질로서 국내산 …
- Harmful algal blooms (HABs), caused by eutrophication, threaten aquatic ecosystems by producing toxins. Loess is widely used to control HABs in South Korea. This study evaluated domestic kaolin as a substitute for loess by compar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chlorophyll-a and nutrients such as PO43–. Laboratory tests showed that finer kaolin particles (<0.18 mm) remained suspended longer in the water, enhancing chlorophyll-a removal. A large-scale reactor experimen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kaolin in significantly reducing chlorophyll-a within 5 h, although particle size was a critical factor. Additionally, kaolin efficiently removed PO43–, mitigating nutrient-driven algal regrowth. Ecotoxicity tests using Daphnia magna revealed no significant toxicity from kaolin. Given its comparable effectiveness and local availability, kaolin appears to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loess for HABs control, particularly in kaolin-rich regions, such as the Nakdong River basin.
- COLLAPSE
부영양화로 인한 조류대발생(HABs)은 독소를 생성하여 수생 생태계를 위협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HABs 방제를 위해 황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황토의 대체물질로서 국내산 고령토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클로로필-a 및 PO43– 등 영양염류 제거 효율을 비교하였다. 실험실 연구 결과, 입자가 작은 고령토(<0.18 mm)는 수체내 장시간 부유하며 클로로필-a 제거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반응조 실험에서도 고령토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5시간 이내에 클로로필-a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때 입자 크기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토는 PO43–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영양염류에 의한 조류의 재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Daphnia magna를 이용한 생태독성 실험에서는 고령토의 유의미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고령토는 황토와 유사한 녹조 제거 효과를 보이며, 특히 낙동강 유역과 같은 고령토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유망한 대체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Study on the Removal of Algal Blooms and Nutrients through Domestic Kaolin Application
-
Technical Report
-
Geology and Mine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Rare Metal (Li, Mo, W, and Nb-Ta) Deposits in Mongolia
몽골 희소금속(Li, Mo, W, Nb, Ta) 광상의 지질 및 광화 특성
-
Daeyong Kim, Seungyeol Lee
김대용, 이승열
-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characterize the geology and genesis of rare metal (Li, W, Mo, Ta, and Nb) deposits …
본 연구는 몽골 내 희소금속(Li, W, Mo, Ta, Nb) 광상의 지질학적 특징과 성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탐사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
-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characterize the geology and genesis of rare metal (Li, W, Mo, Ta, and Nb) deposits in Mongolia and propose effective exploration strategies. These deposits, primarily formed through Mesozoic granitoid-related hydrothermal alteration, occur in diverse types—including pegmatites, porphyries, skarns, and greisens—and often form complex or polymetallic ores. Mongolia is tectonically divided into 44 terranes and 25 metallogenic belts. Rare metal deposits are primarily distributed within the metallogenic belts of the South Mongolian Altai and North Mongolian Caledonian orogenic belts, formed as a result of Late Paleozoic to Mesozoic magmatic activity. With only 4.4% of land under mining rights and ongoing 1:50,000-scale geological mapping, integrating detailed surveys and geophysics could significantly boost discovery potential. As Korea relies on Mongolian Mo imports, diversifying rare metal sources is crucial amid shifting global dynamics. Therefore, continuous attention, systematic research, and preemptive investment are necessary to secure rare metal resources in Mongolia
- COLLAPSE
본 연구는 몽골 내 희소금속(Li, W, Mo, Ta, Nb) 광상의 지질학적 특징과 성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탐사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몽골의 희소금속 광상은 주로 중생대 화강암류와 관련된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페그마타이트, 반암, 스카른, 그라이젠 등 다양한 광상 유형으로 산출된다. 또한, 이들 광상은 복합 광체를 형성하거나 다른 희소금속과 공생하는 경우가 많다. 몽골은 지체구조적으로 44개의 테레인과 25개의 광상구로 구분되며, 희소금속 광상은 주로 남몽골 알타이 조산대와 북몽골 칼레도니아 조산대의 후기 고생대-중생대 화성활동의 결과로 형성된 광상구들 내에 분포한다. 현재 몽골 국토의 4.4%만이 광업권으로 설정되어 있고, 1:50,000 축척의 지질도 작성 사업이 진행 중이다. 따라서 상세 지질 조사와 지구물리탐사를 병행할 경우, 희소금속 광상 발견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한국은 몽골로부터 몰리브덴을 주로 수입하고 있으나,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희소금속 수입 다변화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효과적인 몽골 지하자원 탐사 및 투자를 위해서는 이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Geology and Mine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Rare Metal (Li, Mo, W, and Nb-Ta) Deposits in Mongolia
-
Technical Report
-
Comparative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Reduction Strategies in Sustainability Repor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il and Gas Companies: Implications
국내외 유가스 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탄소배출 공시와 감축 전략의 비교 분석 및 시사점
-
Jaehyeong Lee, Jinsoo Kim, Hoonyoung Jeong
이재형, 김진수, 정훈영
- The management of carbon emissions is essential for meeting stakeholder expectations and fostering a company’s sustainability and long-term growth. In order to …
ESG 경영정보 중 탄소배출량 관리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평가는 기업의 재정과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신뢰도에 직결된다. 따라서 이해관계자들의 …
- The management of carbon emissions is essential for meeting stakeholder expectations and fostering a company’s sustainability and long-term growth. In order to establish and maintain stakeholder trust, systematical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s and reduction strategies in sustainability reports is imperative. This study begins with an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report standards for sustainability disclosures and then proposes effective practices for disclosing carbon emissions and reduction strategie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sustainability reports from five oil and gas companies. Key recommendations for effective carbon emissions disclosure include detailing emissions by scope, providing Scope 3 emissions with clear calculation methodologies, and incorporating carbon intensity metrics. Carbon neutrality targets should be sector specific with clear reduction measures and their corresponding expected contributions. This study offers actionable guidelines for oil and gas companies to systematically and transparently communicate their carbon management strategies and objectives.
- COLLAPSE
ESG 경영정보 중 탄소배출량 관리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평가는 기업의 재정과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신뢰도에 직결된다. 따라서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탄소배출 현황과 감축 계획을 체계적으로 공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 기준을 소개하고, 국내외 유가스 기업 5곳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비교∙분석하여 탄소배출 현황 및 감축 계획의 효과적인 공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탄소배출량을 공시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안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첫째, Scope별 배출원을 세분화한다. 둘째, Scope 3 배출량은 산정 방법론과 함께 제시한다. 셋째, 탄소배출 집약도를 함께 제시한다. 또한, 탄소중립 목표 달성 계획은 각 사업 분야의 특성에 맞추어 구체화하여야 하고, 감축 수단과 수단별 기여도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유가스 기업들이 탄소배출 감축 목표 설정 및 공시 방법을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Comparative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Reduction Strategies in Sustainability Repor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il and Gas Companies: Implications
-
Review
-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Quantum-Computer-Based Seismic Survey Data Preprocessing Techniques
양자 컴퓨터 기반 탄성파 자료 전처리 기법의 가능성 및 한계
-
Juan Lee, Yongchae Cho
이주완, 조용채
- Quantum computers utilize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to process information and have efficient computational costs compared with central-processing-unit-based computers for specific …
양자 컴퓨터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양자역학의 원리를 활용하는 컴퓨터 방식으로, 특정 알고리듬에 대해서는 기존 CPU 기반 컴퓨터에 비해 효율적인 연산비용을 가진다. 가장 …
- Quantum computers utilize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to process information and have efficient computational costs compared with central-processing-unit-based computers for specific algorithms. The most general-purpose quantum computer, the quantum gate computer, uses quantum gates corresponding to gates made of transistors as computational tools. Quantum annealers, however, utilize quantum tunneling, based on the theory that particles can pass through barriers higher than the particle energy owing to the particle waveform, and it is specialized in performing mathematical optimiz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applying seismic exploration data processing techniques and subsurface structure imaging algorithms using quantum computers. However, this study also reveals the limitations of these methods. The results suggest that quantum computers have the potential to perform numerical modeling, seismic data preprocessing, and data enhancement in a time-efficient manner.
- COLLAPSE
양자 컴퓨터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양자역학의 원리를 활용하는 컴퓨터 방식으로, 특정 알고리듬에 대해서는 기존 CPU 기반 컴퓨터에 비해 효율적인 연산비용을 가진다. 가장 범용적인 양자 컴퓨터인 양자 게이트 컴퓨터는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진 게이트에 대응되는 양자 게이트를 연산 도구로 사용한다. 반면 양자 어닐러는 입자가 가진 파동 형태의 특성상 입자의 에너지보다 높은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는 이론인 양자 터널링을 이용한 양자 컴퓨터로, 수학적 최적화 수행에 특화되어 있다. 본 연구는 탄성파 탐사 자료의 처리 기법 및 지하구조 영상화 알고리듬 과정을 양자 컴퓨터로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해당 수행방법의 한계점을 함께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양자 처리 장치가 추후 수치모델링, 탄성파 탐사 자료 전처리 및 자료 품질 향상 등의 기법을 시간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Quantum-Computer-Based Seismic Survey Data Preprocessing Techniques
-
General Remarks
-
Major Outlook of The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전망
-
Yoon Kyung Kim
김윤경
- The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was finalized in February 2025. According to the plan, in 2038, the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2025년 2월에 확정되었다. 계획에 따르면, 2038년에 모형수요는 128.9 GW이고 추가수요는 16.7 GW이고 기준수요는 145.6 GW이다. 기준수요에서 수요관리 16.3 GW를 차감한 …
- The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was finalized in February 2025. According to the plan, in 2038, the model demand is 128.9 GW, additional demand 16.7 GW, and base demand 145.6 GW. The target demand will be 129.3 GW, after subtracting 16.3 GW of demand management from the base demand. Target capacity 157.8 GW is a value that reflects the reserve ratio 22% to the target demand. The required capacity 10.3 GW is derived by subtracting the confirmed conventional generation capacity and dissemination goal of renewable energy from the target capacity. The proportion of carbon-free generation sourc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renewable energy, clean hydrogen, and ammonia is expected to be 53% in 2030 and 70% in 2038. The 11th pla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and improvement of life by supplying stable and economical electricity in the mid- to long-term.
- COLLAPSE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2025년 2월에 확정되었다. 계획에 따르면, 2038년에 모형수요는 128.9 GW이고 추가수요는 16.7 GW이고 기준수요는 145.6 GW이다. 기준수요에서 수요관리 16.3 GW를 차감한 129.3 GW가 목표수요이다. 목표설비 157.8 GW는 목표수요에 연도별 필요예비율 (22%)을 반영한 값이다. 목표설비에서 전통전원 확정설비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차감하면, 필요설비 10.3 GW를 도출할 수 있다. 필요설비는 에너지안보, 경제성, 환경성, 예비율, 기술개발, 건설기간 등을 고려하여 대형원전, SMR, 수소전소, LNG·열병합으로 구성하였다. 그래서 원전, 재생에너지, 청정수소·암모니아의 무탄소 전원 비중은 2030년에 53%, 2038년에 70%로 전망되었다. 확정된 11차 계획이 중장기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무탄소에너지 전환을 위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본격화하여 국가 경제성장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Major Outlook of The 11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